"집값 하락기에도 자재값 감안하면 올려야는데..."
아파트 집값 하락기와 건설비용 상승이 맞물려 분양을 준비하는 건설사의 고민이 늘고 있다.
아파트 매매가격은 하락하고 있다는 전망과 신규 아파트 분양가격 상승 전망이 동시에 나왔다.
한국부동산원은 9일 발표한 2월 1주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이 0.49%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수도권(-0.44%→-0.58%), 서울(-0.25%→-0.31%) 및 지방(-0.32%→-0.40%)에서 모두 하락폭이 확대됐다.
서울은 정부의 규제 및 시중금리 완화 기조로 아파트 매수문의와 거래량이 소폭 증가하였으나, 매도인과 매수인간 희망가격 격차는 여전히 좁혀지지 않아 급매 위주의 하향거래 진행되면서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도 추가 가격하락에 대한 기대심리로 관망세가 지속되면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아파트 전세가격도 전주(-0.71%) 대비 하락폭이 커졌다. 수도권(-1.01%→-1.06%)과 지방(-0.43%→-0.48%)에서 하락폭이 확대됐고, 서울 (-0.96%→-0.95%)은 다소 축소됐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전세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어 당분간 아파트 값 상승은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반면 아파트 분양 가격은 상승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같은 날 발표한 ‘2월 아파트분양전망지수’에 따르면 분양가격 전망치가 81.2에서 85.1로 올랐다. 분양가격은 오르고, 미분양 물량은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은 분양가 상한제 등 정부의 가격 규제 정책이 사라지고, 금리 인상, 택지매입 비용 증가, 건설자재 가격과 인건비 상승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미분양 물량 적체와 매수 심리 위축으로 실제 분양가 인상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주택경기 침체가 이어지면서 분양 가격은 아파트 청약성패의 분수령이 되고 있다. 인근 시세와 비교해 분양가가 높은 경우 청약에서 외면받는 단지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GS건설이 시공한 서울 성북구 '장위자이 레디언트' 아파트는 1330가구 중 약 40%가 미계약돼 두 차례 무순위청약 후 선착순 계약을 진행하고 있다. 장위자이 레디언트 아파트는 전용면적 84㎡는 8억9000만원에서 10억원 초반에 분양가가 돼 분양가가 높다는 평가를 받으며 청약에서 외면받았다.
GS건설의 장위자이 레디언트는 분양가 자체가 메리트가 없으면 서울 대단지 아파트라고 하더라도 소비자들이 선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다.
- 우리금융 3천억원 자본 조달..BIS 15bp ↑
- 강성부펀드, 오스템 공개매수에 백기..2.4조 동원한 사모펀드 앞에 무력
- 넷플릭스, 캐나다 등 4개국 비번 공유 '차단'...한국은?
- 테슬라 PM '압도적' 1위..현대차는 몇 등?
- 에스엠 인수 스텝 꼬인 카카오, '꿩대신 닭' 큐브엔터에 쏠리는 관심
- GM의 반도체 부족 대처법..생산업체와 직접 손잡아
- 오뚜기, 바이오페트재질 용기채택 ESG '탄력'
- '원망스러운 카니예 웨스트'...아디다스, 실적 부담 토로
- "포테토칩이 엽떡과 만났다"..농심, 매운맛 포테토칩 출시
- 현대모비스, 미래 모빌리티 맞춤형 인재 키운다
- 코오롱, 동계 청소년 올림픽 공식 후원사 협약
- 삼성운용, 온라인펀드직판 R2 4년만에 중단
- 3백억 미만 스마트턴키 서류 '15종→5종' 규제 완화
- SK렌터카, 2030년까지 친환경차로 완전교체
- 美 티로우프라이스, KT 매수 '속내' 뭐길래?
- 청년 해외건설인에게 주택 특별공급·소득세 감면 등 혜택
- 포스코건설 직원통근버스 수소버스로 전면교체.."탄소중립 실천"
- 힐스테이APT 충전소 넘어 지자체 전기차사업으로 '확대'
- '프롭텍' 직방, 중동시장 진출 첫발.."사우디시장 디지털화"
- 해외로 눈길 돌리는 건설사..수익성 '글쎄'(?)
- 호반그룹, 대한전선 '지렛대' 중동 진출 '잰걸음'
- DL건설 면목역 6구역 가로주택정비사업 수주
- 동부건설 은평구 역촌동에 454가구 일반 분양
- SK에코플랜트 2년 연속 탄소경영 특별상 수상
- 부영 , 강원 태백 오투리조트 골프장 3월 1일 개장
- 한국건설경영협회 회장에 윤창운 코오롱 부회장
- 은마APT 3.3㎡당 분양가 7700만..서울평균의 2.5배 비싸
- '반값아파트' 고덕강일3단지 27일부터 사전예약접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