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서 밝혀...AI 개발에 인력 등 강화

구글은 자사의 인공지능(AI) 챗봇 람다(LaMDA) 같은 대형 언어 모델을 '향후 수주, 몇 달 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은 2일(현지시간) 실적 발표에 이은 콘퍼런스 콜에서 "사용자들이 검색의 동반자로서 언어 모델을 곧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피차이 CEO는 또 "우리(의 단계)는 AI 여정의 시작에 불과하며 최선(의 결과)은 아직 오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IT 매체 기즈모도는 '어프렌티스 바드'란 이름이 붙은 구글의 새 챗봇은 람다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고 전했다. 이는 챗GPT와 비슷하게 기능한다. 사용자가 자연어로 질문을 입력하면 생성된 텍스트 응답을 받는 식이다. 기즈모도는 그러나 어프렌티스 바드가 챗GPT가 할 수 있는 것 이상의 중요한 기술을 몇 가지 더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보도했다.
구글의 경쟁사인 마이크소프트(MS)는 오픈AI의 AI 챗봇 챗GPT 기능을 자사의 화상회의 서비스 팀즈, 검색엔진 빙 등에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구글 직원들은 '코드 레드'(code red, 매우 심각한 위기 상황)로 상황을 인식하고 AI 봇을 검색에 통합하는 새로운 방법들을 부지런히 테스트하고 있는 중이다.
피차이 CEO는 직원들을 재배치하고 특별 회의를 개최하는 등 AI 개발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하고 있다.
관련기사
- MS, 화상회의 서비스 '팀즈'에 챗GPT 활용
- 오픈AI "기계가 쓴 건지 확인해보세요"...웹 분류 도구 공개
- 언론사도 챗GPT 도입...美 버즈피드 "콘텐츠 개인화 도움"
- 챗GPT, 축복 vs.재앙..교육계 '비상'ㆍ기업들은 '우호적'
- MS, '구글의 시대 끝낸다'는 오픈AI 손에 넣나
- 더존비즈온, 4Q 적자에 배당금 줄여
- 소니드, AI 로봇 재난·위험 방지 사업 맞손
- 우리금융지주 차기 회장에 임종룡 전 금융위원장
- 홍보 과잉 시대...'디인플루언싱' 뜬다
- 亞·阿국가들이 스마트시티 서두르는 이유[스투/리포트]
- '마녀들의양조' 정유공장 오염수 막을 방법없나[스투/리포트]
- 헥슬란트-카페24, “NFT 발행과 보관 돕는다”
- "피아노 조율·수리는 새로운 음을 창조하는 ‘ART’"
- 원할머니 보쌈족발도 모바일구매 '인기'
- 증권가 AI 테마 돌풍...어떤 종목이 많이 올랐나
- 셀바스AI, 작년 매출 503억원.."AI 제품화로 양적 · 질적 성장기반 확보"
- 구글도 '검색에서 AI로'...챗GPT 대항마 '바드' 내놨다
김윤경 기자
s_914@smarttoday.co.kr
다른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