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서 밝혀...AI 개발에 인력 등 강화

구글은 챗GPT에 대항하기 위해 AI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출처=셔터스톡
구글은 챗GPT에 대항하기 위해 AI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출처=셔터스톡

구글은 자사의 인공지능(AI) 챗봇 람다(LaMDA) 같은 대형 언어 모델을 '향후 수주, 몇 달 안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은 2일(현지시간) 실적 발표에 이은 콘퍼런스 콜에서 "사용자들이 검색의 동반자로서 언어 모델을 곧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피차이 CEO는 또 "우리(의 단계)는 AI 여정의 시작에 불과하며 최선(의 결과)은 아직 오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IT 매체 기즈모도는 '어프렌티스 바드'란 이름이 붙은 구글의 새 챗봇은 람다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고 전했다. 이는 챗GPT와 비슷하게 기능한다. 사용자가 자연어로 질문을 입력하면 생성된 텍스트 응답을 받는 식이다. 기즈모도는 그러나 어프렌티스 바드가 챗GPT가 할 수 있는 것 이상의 중요한 기술을 몇 가지 더 갖고 있는 것 같다고 보도했다. 

구글의 경쟁사인 마이크소프트(MS)는 오픈AI의 AI 챗봇 챗GPT 기능을 자사의 화상회의 서비스 팀즈, 검색엔진 빙 등에 추가하겠다고 밝혔다. 구글 직원들은 '코드 레드'(code red, 매우 심각한 위기 상황)로 상황을 인식하고 AI 봇을 검색에 통합하는 새로운 방법들을 부지런히 테스트하고 있는 중이다. 

피차이 CEO는 직원들을 재배치하고 특별 회의를 개최하는 등 AI 개발에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