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까지 신방화역 공영주차장에 로봇충전기 3기 동시충전 구축…상용화 검증 나서

서울시가 지하철 9호선 신방화역에 무인 로봇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설치하고, '무인 로봇 전기차 충전 실증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서울시는 장애인, 임산부 등 교통약자뿐만 아니라 일반 전기차 이용자들도 쉽고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도록 신방화역 환승 공영주차장에 이달부터 3대를 동시충전할 수 있는 로봇 충전기 1대를 설치하고 오는 9월부터 2년간 시범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13일 밝혔다.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운전자는 충전구역 주차 후 전기차 충전구 덮개를 열면 끝이다. 

주변의 사물을 인식하기 위해 레이저 신호를 이용하는 라이다(Lidar) 센서와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3차원 공간의 객체를 감지, 추적 및 분석하는 3D 비젼시스템이 적용된 무인 로봇팔이 충전구를 찾아 충전하고, 충전이 끝나면 제자리로 돌려놓게 된다. 

전력부에 전력분배를 할 수 있는 파워뱅크를 설치해 충전의 효율성을 높이고 충전 로봇팔이 이동할 수 있는 레일을 탑재해 한 번에 여러 대를 충전할 수 있으며 충전기 추가 설치도 가능하다.

설치 초기에는 장애인, 임산부 등 교통약자를 우선한 회원제로 운영한다. 이용자 충전패턴과 만족도 등을 분석해 충전 서비스 개발에 적용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이용 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충전요금부터 주차요금까지 결제 가능한 자동 정산시스템을 구축하고, 일정 기간 교통약자 회원을 대상으로 충전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다. 전기차 화재 신속 대응을 위해 충전기에는 열화상 CCTV를 설치한다. 

시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충전사업자와 업무협약을 맺고 ‘무인 로봇충전시스템’을 구축해 미래 충전모델로서의 적합성 등을 검증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전국 최초로 구축해 운영하는 시스템인 만큼 계절과 날씨 등 외부 요인에 따른 운영 현황 및 다양한 차종에 대한 반응성 등을 검증해나갈 예정이다.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이번 실증 사업을 통해 일반 전기차 이용자뿐만 아니라 장애인, 임산부와 같은 교통약자도 큰 불편 없이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신기술 및 충전 서비스 등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