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막 한 가운데에서 물 절약한 라스베이거스의 수자원관리 비법, 뭐 길래?

카지노로 유명한 라스베이거스 더 스트립에서는 분수대가 여전히 화려한 조명과 함께 물을 뿌려대고 있지만, 이는 진정한 라스베이거스의 모습은 아니다. 실제 라스베이거스의 거리를 따라 무성했던 잔디 카펫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부족한 물을 관리하기 위한 라스베이거스 시 정부의 노력에 따른 것이라고 LA타임즈가 전했다.
더 스트립의 호텔가에서 흔하게 보이는 분수와 수로의 물은 버려지지 않는다. 거의 전량이 재활용되기 때문에 논외다. 물 관리 이야기는 라스베이거스 시 전반의 성공 스토리다. 모하비 사막 한가운데에 위치한 라스베이거스는 수년 동안 물 관리를 통해 기후 변화 대응했다. 물을 다량 필요로 하는 잔디밭과 전쟁을 벌였으며 물을 낭비하는 요소들을 탐색해 왔다. 이런 정책을 통해 라스베이거스 인근 지역의 물 90%를 공급하는 콜로라도 강의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해 왔다.
결과적으로 라스베이거스는 물 절약에 관한 한 미국 전역의 선두 주자로 부상했다. 정책의 일부는 수량이 줄어들고 있는 강에 의존하는 다른 도시와 주로 확산됐다. 특히 잔디를 제거하는 정책은 라스베이거스 남서부 지역 전체 공간을 재구성하면서 풍경을 바꾸어 놓았다.
라스베이거스의 물 관리 모델은 20년 전부터 시작된 콜로라도 강의 초기 고갈 위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후버 댐이 막고 있는 미드 호수는 2000년 초에는 수위가 거의 댐 상단에 도달해 있었다. 수량은 풍부했다. 그러나 그 뒤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인입 수량 감소, 감소에 반비례해 늘어난 물 사용으로 인해 수위가 계속 낮아졌다.
2002년부터 본격적으로 호수 수위가 낮아졌고, 네바다주 남부 수자원국은 콜로라도 강의 물을 과도하게 많이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수자원국의 우려가 시작됐다고 한다. 수자원 보존 쪽으로 정책이 신속하게 선회했다.
수자원낭비 주범 '잔디' 부터 '전면 퇴출'
그 첫 번째 정책이 잔디 교체였다. 물을 많이 잡아먹는 잔디를 뜯어내고 그 자리를 사막 식물로 대체하기 시작한 것이다. 동시에 잔디를 없애는 곳에는 현금 리베이트를 제공하기도 했다. 잔디는 아보카도와 함께 사람손이 가장 많이 가는(물을 가장 많이 먹는) 식물이다. 한 때 부의 상징이었던 잔디는 기후변화로 쓸모없는 사치품에 불과하다.
이 한가지 정책만으로 2003년 라스베이거스 지역의 콜로라도 강 물 소비량은 16% 이상 감소했다. 지역 규제당국은 잔디 교체 정책을 더욱 확대하면서 수자원 관리를 꾀했다. 라스베이거스는 2004년 주택 앞마당에 잔디밭 조성을 금지했다. 수자원 관리 당국은 계절적으로 물 공급 제한 정책을 채택했다.
2002년 이후 남부 네바다 지역의 콜로라도 강 물 사용량은 전체적으로 약 26% 감소했다. 1인당 물 사용량은 무려 48% 감소했다. 라스베이거스는 잔디에 대한 규제를 계속 강화하고 있다.
가장 최근인 2021년, 네바다 주 의회는 오는 2027년부터 거리를 따라 심어져 있는 모든 잔디에 대해, ‘별다른 기능이나 이유가 없는 경우’ 잔디에 물을 주는 것을 금지시키는 법을 통과시켰다. 사실상 잔디 퇴출 정책이 통과된 것이다. 잔디에 물 공급을 금지시킨 것은 미국에서도 처음 있는 일이다.
2002년 이후 라스베이거스 지역의 주택 소유자들은 지금가지 약 2억 500만 평방피트 이상의 잔디를 제거했다. 잔디를 대체해 심어진 식물과 나무는 잔디에 비해 4분의 1 미만의 물만을 필요로 했다. 이로 인해 연간 약 114억 갤런의 물을 절약하게 됐다.
라스베이거스는 향후 4년 안에 더 많은 잔디가 사라질 것으로 본다. 새로 지어지는 집을 포함해 더 이상 새로운 잔디를 심을 수도 없다. 다만 공공 공원, 학교, 묘지에는 일부 잔디를 허용한다.
집에 잔디를 보존하는 주민들은 물 공급 제한을 감수해야 한다. 물 관리 조사관들이 거리를 순찰하고 있다. 적발되면 주택 소유자들의 위반에 대한 서면 경고와 함께 벌금을 부과한다. 가정집 실내에서의 물은 그리 걱정하지 않는다. 물의 약 40%는 실내에서 사용되지만 가정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정수장에서 처리돼 미드 호수로 다시 방출되어 재사용된다.
라스베이거스의 28개의 수도 시설을 조사한 최근의 분석 결과 2000~2020년 사이 도시의 물 사용량은 인구가 24%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18% 감소했다. 시는 오는 2035년까지 물 사용량을 추가로 23% 더 줄이겠다는 목표다.
- 건물 에너지사용 최대 45%까지 '절감'
- 콘텐트리중앙, 작년 순손실 1000억..적자 두 배로
- 4세승계 앞둔 샘표식품 순익 '반토막'
- 美 티로우프라이스, KT 매수 '속내' 뭐길래?
- 행동주의펀드, 하이브 에스엠 인수에 반발.."가격 너무 낮아, 주식 전부 다 사야"
- 나우IB, 주권 쪼갠다...액면가 5000원→500원
- SK렌터카, 2030년까지 친환경차로 완전교체
- 실리콘밸리ㆍ맨해튼 상업용 부동산, 13년만에 하락세로
- 삼성운용, 온라인펀드직판 R2 4년만에 중단
- 힐스테이APT 충전소 넘어 지자체 전기차사업으로 '확대'
- 한국조선해양, CDP 탄소경영 특별상 수상
- LNG수입3위 한국이 '메탄' 줄일 방안은?
- DL건설 면목역 6구역 가로주택정비사업 수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