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인구 데이터 보니…서울 지하철 혼잡도 1위 출퇴근 모두 구로역
오후 6시 40분 구로역 혼잡도 252%…교통당국도 "더 탈 수 없는 수준"

이태원 참사 영향으로 이른바 압사 위험이 있는 지하철('지옥철')에 대한 PTSD(외상후 스트레스장애)를 호소하는 이들도 나오고 있다.
3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출퇴근시간대 각 지하철역의 혼잡도를 측정한 결과 구로역에 가장 승객이 붐비는 등 혼잡시간대 서울 일부 지하철 내부가 이태원 사고 당시와 비슷한 수준의 혼잡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이 지난해부터 온라인에 공개하는 유동 인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지하철 혼잡도를 분석한 결과 올해 1분기 기준 차량 내 혼잡도가 가장 심한 지하철역은 출근과 퇴근 시간 모두 1호선 구로역으로 집계됐다.
최근 집계치인 8월 1일~10월 31일 데이터(수요일 기준)를 보면 퇴근 시간인 오후 6시 40분 구로역에서 구일역(인천행) 방면 열차 내 혼잡도는 252%로 '매우 혼잡'을 나타냈다.
서울지하철 전동차 한 칸의 정원은 160명. 160명이 탔을 때를 혼잡도 100%로 계산한다. 따라서 퇴근 시간대 구로역 혼잡도 252%는 지하철 한 칸에 403명이 타고 있다는 의미이다.
차량의 넓이가 약 60.84㎡이므로 가로 세로 1미터 공간내에 평균 6.6명이 구겨서 있는 상태란 것이다.
이번에 사고가 난 이태원의 내리막 골목은 약 180㎡(55평) 정도의 넓이로, 여기에 1천 명 이상, 최대 1천200명가량 인파가 한꺼번에 몰려 혼잡시간대 구로역 수준의 혼잡도를 보였다는 산술적 분석이 가능하다.
같은 기간 구로역의 출근 시간대 혼잡도는 오전 7시 40분 210%로 지하철 한 칸에 330명이 탑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1㎡당 환산하면 5.42명이다.
구로역 외 다른 지하철 내부 혼잡도도 위험 수준에 가깝기는 마찬가지. 4호선 동작역 퇴근 시간 최고치는 238%로 한 칸에 약 380명이 탑승했고, 5호선 군자역 퇴근 시간 최고치는 228%로 약 365명에 달했다.
서울시와 서울교통공사는 지하철역의 안전 문제에 대한 긴급 점검에 나서는 등 대응책 마련을 고심중이다.
- [이태원참사]공연계, 공연장 안전현장 긴급 점검
- [이태원참사]"재난안전 예산 더 늘려야"
- [이태원참사]황종성 NIA원장 "스마트시티 통해 재발 막는다"
- [이태원참사]이준석이 제안한 스마트시티 원칙
- 독일의 '대중교통 무제한 티켓' 통했다
- 바르셀로나, 지하철 운행 후 남은전기로 e-스쿠터 충전
- "교통약자" 대폭 증가 전체인구의 30%...이동 지원정책 필요성 ↑↑↑
- 서울 버스·지하철 "내맘대로" 골라탄다?...실시간 제공 차량내 혼잡도 정보 활용하면 가능!!
- [이태원참사]현장인파관리스템 '뒷북' 구축
- [이태원참사]AI기술로 밀집인파사고 예방체계 구축
- [이태원참사] 전 국민이 PTS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