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한 교통데이타·통신데이타 등 빅데이타 통합

행정안전부가 ICT 기술을 활용한 현장인파관리시스템을 구축키로 했다. 지난달 일어난 이태원 사고의 후속대책이다. 11일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으로 군중 밀집 인파사고 예방관리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민.관 합동회의를 개최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현장인파관리시스템은 이동통신 3사의 기지국 기반 위치신호데이터(유동인구), 교통기관의 대중교통데이터, 지자체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영상 등을 활용한다.
산재한 각종 빅데이타를 서로 통합 관리하는 스마트시티의 골자를 적용한 해법이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 뒷북 처방이란 반성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다.
행안부는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의견을 반영해 이동통신 3사, 교통기관 등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로 밀집도를 분석, 점검(모니터링)한다.
위험 상황(‘주의’ 단계)이 감지되는 경우, 지자체에서는 폐쇄회로 텔레비전 등으로 현장 상황을 확인하여 경찰, 소방 등 관계기관에 상황을 전파하며, 밀집 인파에게 재난문자 등으로 알릴 수 있는「현장인파관리시스템」을 개발 예정이다.
이상민 장관은 “우리나라의 선진 정보통신기술(ICT)을 재난안전관리에도 적극 활용될 필요가 있다”라면서,“이번 민관 합동회의에서 나온 전문가의 의견을 적극 반영, 다중 밀집 인파관리도 데이터 기반으로 과학적으로 수행하여 인파사고 재발 방지에 만전을 기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는 사고 직후 페이스북을 통해 이와 비슷한 내용의 예방책을 제시한 바 있다.
관련기사
- [이태원참사]1㎡ 면적에 6.6명..'지옥철' PTSD
- [이태원참사]공연계, 공연장 안전현장 긴급 점검
- [이태원참사]"재난안전 예산 더 늘려야"
- [이태원참사]황종성 NIA원장 "스마트시티 통해 재발 막는다"
- [이태원참사]이준석이 제안한 스마트시티 원칙
- 서울 "무료 와이파이" 지역 대폭 늘어난다
- [이태원참사]AI기술로 밀집인파사고 예방체계 구축
- [이태원참사] 전 국민이 PTSD(?)
- 쿠콘 3분기 영업이익 22% 증가
- 사회적약자가 재난·안전 사고에 더 취약해
- 2주택자 취득세 중과 제외..3주택이상도 절반 '감축'
- '세종형 자치경찰제' 현장 방문
이민하 기자
lmh@smarttoday.co.kr
다른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