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유현준 홍익대 교수연구실, 6각형 스마트시티 청사진 '눈길
그린필드 스마트시티 참조 모델 공개

현대차그룹이 연구한 미래 스마트시티 상상도
현대차그룹이 연구한 미래 스마트시티 상상도

사람과 자연, 건축과 모빌리티가 공존하는 이상적인 미래의 스마트시티는 어떤 모습일까? 도시 반경 6㎞ 규모로 공간 활용도가 높고, 사람과 모빌리티를 구분한 육각형 벌집 구조의 도시. 현대자동차가 그리는 이상적인 스마트시티의 청사진이 눈길을 끌고 있다.    

*도시 중심부에 자연 녹지가 있고, 외곽에 건물이 들어선 미래 스마트시티. 조망권을 위해 도시 내부에 저층 건물을, 외곽으로 고층 건물을 각각 배치했다. 도시간 교통은 PBV와 UAM으로 이용된다.
*도시 중심부에 자연 녹지가 있고, 외곽에 건물이 들어선 미래 스마트시티. 조망권을 위해 도시 내부에 저층 건물을, 외곽으로 고층 건물을 각각 배치했다. 도시간 교통은 PBV와 UAM으로 이용된다.

 

현대차그룹은 홍익대 유현준건축사사무소와 공동으로 연구한 'HMG 그린필드 스마트시티 참조모델'을 31일 공개하고 온라인으로 전시했다. 

'HMG 그린필드 스마트시티 참조모델'은 현대차그룹이 그리는 이상적인 미래 도시의 구체적 모습을 담고 있다.   

'HMG 그린필드 스마트시티 참조모델'은 또 환경 피해를 줄이면서 무분별한 확장을 막도록 설계됐다. 이를 위해 도시의 완성 시간이 짧고 유휴 부지는 최소화하면서 공간은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벌집 구조 6각형 도시 콘셉트를 만들어냈다. 마치 원형의 야구 경기장을 연상케 한다.   

지상에는 걷기 편한 거리와 충분한 녹지로 구성하고 지하는 모빌리티, 물류, 에너지 인프라 등을 갖춘 기능 중심의 공간으로 설계했다. 특히 지상은 '걸어 다닐 수 있는 도시', '3분 내의 자연 접근이 가능한 도시' 등의 목표를 고려해 도시의 폭을 600m로 제한했다. 

도시 외곽으로 갈 수록 차량 이동을 위한 도로를 배치해 연결성을 높였고 중심부에는 보행 친화적인 거리로 조성했다. 도시 외곽의 각진 모서리에서는 모빌리티의 속도가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직선과 곡선의 장점을 모두 갖도록 설계했고, 도시의 반경은 6㎞다.

지영조 현대차그룹 이노베이션 담당 사장은 "현대차그룹은 도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개발해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며 "이에 기반한 미래 스마트시티 연구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은 또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과 공동으로 진행해온 산학과제인 '극한 환경에서의 미래 도시에 대한 연구' 결과도 공개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홍익대 건축도시대학은 세계의 다양한 지형과 극한 환경을 감안, 극지, 바다, 사막 등에 미래 도시가 생기는 경우를 대비한 도시 연구를 진행해왔다.

먼저, 극지 도시는 눈으로 덮인 영구 동토층을 제거하고 드러난 암반 위에 대형 돔을 건설하는 콘셉트다. 돔 내부는 야외 활동 및 식물 서식이 가능할 정도의 냉대 기후를 조성하고 도시를 건설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도시는 해안가에 있으며, 중심부에 녹지를 배치하고, 외곽 지역으로 갈수록 도시의 밀도가 높아진다.

바다 도시는 사라져가는 산호초 중심에 인공도시를 구성해 바닷속 자연을 보존하는 동시에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도시는 해저지형과 산호초 분포에 따라 주거, 상업, 연구, 녹지 등의 지역으로 나눠 구성된다.

사막 도시는 뜨거운 태양열, 높은 기온, 거센 모래 폭풍을 막기 위한 구조로 도시를 구성했다. 지붕 구조물, 건물, 보행로, 목적기반자동차(PBV)와 대중교통이 다니는 도로망, 배후지 및 공원 등으로 설계됐다.

현대차그룹이 홍익대학과 연구한 극지도시 디자인 콘셉트 
현대차그룹이 홍익대학과 연구한 극지도시 디자인 콘셉트 
현대차그룹이 홍익대학교와 연구한 바다도시 디자인 콘셉트 
현대차그룹이 홍익대학교와 연구한 바다도시 디자인 콘셉트 
현대차그룹이 홍익대학교와 연구한 사막 도시 디자인 콘셉트 
현대차그룹이 홍익대학교와 연구한 사막 도시 디자인 콘셉트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