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36% 공유킥보드 "이용 경험 有"..자전거 이용률 넘어서
"한국은 이미 e-모빌리티의 선두주자이다. 한국에서 공유킥보드는 테크 얼리 업답터만 사용하는 것이란 인식은 이미 사라졌다. 서울시민의 주된 교통수단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e-모빌리티를 연구하는 40명의 국제 학자들이 모인 글로벌 마이크로 모빌리티 연구기관 ‘마이크로모빌리티 리서치 파트너십(이하 'MRP협회')는 서울 공유킥보드 이용행태 연구자료를 30일 발표했다.
MPP협회가 서울시민 5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시민의 36%가 공유킥보드를 사용해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 시민 중 19%는 월 1회 이상 승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특정 지역의 경우 공유킥보드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곳도 있다며 거주지 및 직장에서 도보 5분 이내에 공유킥보드를 이용할 수 있는 서울시민 중 ▲50%는 이미 공유킥보드를 사용한 적이 있고 ▲30%는 한 달에 한 번꼴로 ▲18%는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MRP협회 페르디난드 발푸르트 수석 파트너는 “사용 경험 비율을 볼 때 공유킥보드는 현재 자전거와 같은 기존의 탈 것을 뛰어넘고 있다"며 "한국인의 23%만이 최근 1년간 자전거를 이용했다고 말한 연구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자전거가 수백 년 동안 존재해 온 것을 고려하면 불과 2∼3년 만에 공유킥보드의 인기가 자전거를 추월한 것은 이례적 일로 e모빌리티의 선진국이라 할 만하다고 덧붙였다.
MRP 협회는 우리나라와 뉴질랜드, 호주를 비롯한 국내외 40명의 국제 학자들이 모인 독립 연구기관이다. 협회는 마이크로모빌리티와 지속가능한 교통 수단 연구를 활성화하고, 건강과 환경,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 스마트 시티패스·IoT 공유주차서비스 등 국토부 인증 획득
- [스투/리포트] 자전거 늘지만 도로 혼잡도' ↑'…노스캔자스시티 연구
- “교통 운송 시스템의 진정한 혁신은 EV 승차공유 서비스에서 온다”
- “기후 행동의 다음 단계는 ‘주차장 개혁’이다”
- 서울시, 엑스포월드콩그레스 3년만에 출사표
- [초점] ‘세계 차 없는 날’…”자동차는 사라지지 않아도, 차 없는 도시는 만들 수 있다“
- 100미터 24초 '달리는 로봇' 기네스북 올랐다
- 국제 모빌리티 산업전 5∼7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
- 서울시, 에콰도르 최대 규모 상업도시에 스마트시티 노하우 전수
- M버스 신규 사업자 모집
- 종로구 송현동 부지 100년 만에 개방
- 영광군, e-모빌리티 엑스포 참가 기업인의 밤 개최
- [스투/리포트] 도시가 친환경 모빌리티 서비스를 강화하는 세 가지 방법
- 메타버스 서울 공간 시민이 만들고 꾸민다
- 농심 건면, 저칼로리·건강 열풍에 매출 신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