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36% 공유킥보드 "이용 경험 有"..자전거 이용률 넘어서

"한국은 이미 e-모빌리티의 선두주자이다. 한국에서 공유킥보드는 테크 얼리 업답터만 사용하는 것이란 인식은 이미 사라졌다. 서울시민의 주된 교통수단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e-모빌리티를 연구하는 40명의 국제 학자들이 모인 글로벌 마이크로 모빌리티 연구기관 ‘마이크로모빌리티 리서치 파트너십(이하 'MRP협회')는 서울 공유킥보드 이용행태 연구자료를 30일 발표했다. 

MPP협회가 서울시민 500여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 결과 시민의 36%가 공유킥보드를 사용해 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 시민 중 19%는 월 1회 이상 승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특정 지역의 경우 공유킥보드에 대한 접근이 어려운 곳도 있다며 거주지 및 직장에서 도보 5분 이내에 공유킥보드를 이용할 수 있는 서울시민 중 ▲50%는 이미 공유킥보드를 사용한 적이 있고 ▲30%는 한 달에 한 번꼴로 ▲18%는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MRP협회 페르디난드 발푸르트 수석 파트너는 “사용 경험 비율을 볼 때 공유킥보드는 현재 자전거와 같은 기존의 탈 것을 뛰어넘고 있다"며 "한국인의 23%만이 최근 1년간 자전거를 이용했다고 말한 연구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자전거가 수백 년 동안 존재해 온 것을 고려하면 불과 2∼3년 만에 공유킥보드의 인기가 자전거를 추월한 것은 이례적 일로 e모빌리티의 선진국이라 할 만하다고 덧붙였다. 

MRP 협회는 우리나라와 뉴질랜드, 호주를 비롯한 국내외 40명의 국제 학자들이 모인 독립 연구기관이다. 협회는 마이크로모빌리티와 지속가능한 교통 수단 연구를 활성화하고, 건강과 환경,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