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이 글로벌 비영리기구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 이하 CDP)가 선정하는 기후변화 부문 ‘리더십 A’ 등급 기업으로 2년 연속 선정됐다. CDP 기후변화 부문 리더십 A 등급은 전 세계 1만8700여 개 기업 중 최상위 300여 개 기업(1.6%)에만 수여되는 영예로, 국내에서는 SKT 포함한 5개사만 포함됐다.
9일 SK텔레콤에 따르면 SKT는 이날 CDP 한국위원회가 주관하는 ‘기후변화 대응·물 경영 우수기업 시상식’에서 최상위 5개 기업에 수여되는 ‘탄소경영 아너스 클럽’, 산업군별 우수기업이 수상하는 ‘탄소경영 섹터 아너스’(통신 분야)에도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
CDP는 환경 이슈와 관련된 ESG 평가 지표를 발표하는 글로벌 프로젝트로, 투자자를 대신해 전 세계 주요 기업의 환경 관련 경영정보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전 세계 금융기관의 ESG 기업 평가와 투자를 지원한다.
이번 수상은 최근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가속되고 있는 가운데 대외 신인도가 높은 글로벌 기구에서 SKT의 탄소중립(Net Zero) 이행에 대해 높게 평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 친환경 경영 성과 기반 글로벌 기업경쟁력 강화 및 주주·투자자 관심 제고 기대
SKT는 그동안 재생에너지 사용, 고효율 통신장비 개발 및 도입, 사옥 냉난방 효율화 등을 통해 통신서비스 제공과 사업 운영에 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을 지속해 나가고 있다.
SKT의 온실가스 감축은 통신서비스 제공을 위해 배출하는 ‘직접배출(Scope 1)’과 ‘간접배출(Scope 2)’뿐만 아니라, 통신 장비의 생산, 유통망 운영, 임직원 출퇴근 및 출장 등 사업 운영을 위한 모든 단계에서 발생하는 ‘기타 간접배출(Scope 3)’까지 포함한다.
스코프(Scope)는 기업이 탄소 배출량을 종합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실가스 배출원 분류 체계를 의미한다. 국가 간의 호환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유엔 산하 국제 협의체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표준안을 제공한다.
SKT는 2020년 통신 업계 최초로 RE100(기업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글로벌 캠페인)에 가입하고, 네트워크 장비 소모 전력을 최대 53% 절감하는 싱글랜(Single Radio Access Network) 기술을 도입해 탄소 배출권을 매년 1만 톤 이상 인정받는 등 ESG 경영을 실천해 오고 있다.
이준호 SKT ESG 추진 담당은 “첨단 ICT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사회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ESG 경영 활동을 통해 넷제로 목표를 달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하이브, 미국 힙합레이블 QCM 3140억원에 인수
- 디어유, 에스엠이 차려놓은 굿판에서 무조건 활짝 웃는다
- 롯데정보통신, 매출 1조 클럽 입성…"사상최대"
- LG U+, CDP ‘탄소경영 섹터 아너스클럽’ 9년 연속 수상
- ‘당신의 행복한 순간을 즐기세요!'
- 디즈니도 7천명 감원...비용절감 계획에 주가 ↑
- 블루투스 SIG, ESL시장 무선 표준 도입
- '기록적인 실적' 올린 우버도 해고 행렬 섰다
- 신한카드, 작년 ESG 분야 이용금액 20조원 넘어
- '적자전환' CJ ENM, 無배당
- JB지주, 연간시가배당률 9.9%
- 10명 중 3명만 통하는 금리인하요구, 왜 안됐는지 설명해준다
- 코오롱 투자받은 올레팜, 신품종딸기 '홍희'로 중동 '원정'
- "149개 주택담보대출상품 1분만에 금리 비교"
- SK에코플랜트 2년 연속 탄소경영 특별상 수상
- KB국민은행, 지속가능연계차입 미화 3억불 신디케이티드론 약정 체결
- SKT, 국내 통신사 최초 ‘6G 백서’ 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