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현대자동차㈜, 기아㈜, 테슬라코리아(유),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 폭스바겐그룹코리아㈜, ㈜피라인모터스에서 제작 또는 수입·판매한 총 35개 차종 49만 3,152대에서 제작 결함이 발견되어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한다고 27일 밝혔다.
현대차·기아㈜에서 제작, 판매한 스포티지 등 2개 차종 17만7,681대는 전자제어 유압장치의 내부 합선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쏘렌토 등 6개 차종 16만2,918대는 변속기 제어장치의 안전모드 관련 소프트웨어 설계 오류로 변속기 오일펌프 불량 시 변속이 되지 않는 경우가 발견됐다. 싼타페 등 5개 차종 9만6,363대는 앞 좌석안전띠 조절장치의 내부 부품(가스발생기) 불량으로 충돌 시 부품이 이탈되고, 이로 인해 뒷좌석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어 자발적 리콜 대상에 포함됐다.
해당 차종은 이르면 이날부터 무상 수리를 받을 수 있다.
테슬라 모델3 등 2개 차종 4만 3,582대(판매이전 포함)는 파워윈도우 시스템 소프트웨어 오류로 창유리가 닫힐 때 장애물에 닿은 경우 닫히기 전의 위치로 돌아가지 않거나 덜 열릴 수 있는 등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확인됐다. 내달1일부터 소프트웨어로 원격 자동 업데이트가 진행될 예정이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가 판매한 GLE 450 4MATIC 등 10개 차종 9,439대는 뒷문 창틀(트림 바)의 고정 불량으로 주행 중 해당 부품이 차체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C 300 등 4개 차종 1,712대는 후방 전기신호 제어장치(Rear SAM(Signal Acquisition and actuation Module))의 방수 불량에 따른 합선 등 화재가능성으로 리콜 명령을 받았다. GLE 250 4MATIC 35대는 자동차 안정성 제어장치의 외관 손상으로 수분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아 안전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스바겐그룹코리아㈜에서 수입, 판매한 ①Touareg 3.0 TDI 등 3개 차종 1,243대(판매이전 포함)는 앞면 창유리 서리제거장치의 전기 보조히터 미설치로 서리 제거가 제대로 되지 않는 안전기준 부적합 사항이 확인됐다. Golf 8 2.0 GTI 97대(판매이전)는 냉각장치(라디에이터)의 고정 불량으로 냉각수 호스가 V-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손상되고, 이로 인한 냉각수 누수로 엔진이 과열될 가능성이 확인되어 자발적으로 시정조치(리콜)에 들어간다.
㈜피라인모터스에서 수입, 판매한 하이퍼스11L 전기버스 82대는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의 자기인증적합조사 결과, 승강구 수동 열림 장치의 설치 위치가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드러났다.
- 포르쉐·BMW·포드 등 수입차 6600대 '리콜'-국토부
- 국토부, 자동차종합정보서비스 '자동차 365' 전면 개편
- 자율주행차 관심 높지만 신뢰못해..구매 "아직"
- 100미터 24초 '달리는 로봇' 기네스북 올랐다
- 미국 고속도로 전역에 80km 간격으로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구축
- [초점] KT+현대자동차그룹, "스마트 미래" 창출위한 "파괴적 혁신" 전격 맞손
- 현대자동차그룹, 국내최대 '드라이빙 익스피리언스 센터' 개관
- 현대차그룹+인천국제공항공사+한진그룹, 세계최초 '스마트 화물터미널' 구축 "맞손"
- 현대자동차그룹, 수소전기버스·청소특장차 최초 공개
- 울산시, "K-배터리 허브" 변신 가속화...총사업비 341억원 투입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 지원센터’ 구축
- 현대차그룹, "반도체 스타트업"에 투자 "눈길"
- 제네시스, 전기차 콘셉트 ‘엑스 스피디움 쿠페’ "속살" 첫선
- 제주도, 차가 사람보다 많아..0.99명당 1대
- '공유오피스' 이어 '공유전기차' 시대..현대차 '위블비즈' 출시
- 포드·볼보·테슬라 등 리콜
- 침수차 이력관리 더 꼼꼼해졌다
- 후방카메라 불량 등 아우디·테슬라 '자발적 리콜'
- 車평균수명 1위 토요타..현대차 수명은?
- 아우디·기아·벤츠 13개 차종 2만여대 리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