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22일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하다’ 주제 '도쿄포럼 2025' 개최
최 회장, “사회문제 해결 위해 사회적가치 정량화 필요… AI로 측정·관리"

|스마트투데이=나기천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이 21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도쿄포럼 2025'에서 "현재의 자본주의 하에서 우리는 환경 문제, 사회 양극화 등 다양한 사회 문제들에 직면해 있으며 이를 해결해 얻는 사회적가치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새로운 자본주의'의 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도쿄포럼은 최종현학술원과 도쿄대가 급격한 기술발전, 지정학적 불안정 등 글로벌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2019년부터 매년 공동 개최해온 국제 포럼이다.
올해는 "자본주의를 다시 생각하다: 다양성, 모순, 그리고 미래 (Rethinking Capitalism: Varieties, Contradictions, and Futures)"를 주제로 이날부터 이틀간 일정으로 진행된다.
개회사에서 최 회장은 "기존 자본주의는 재무적 측면만 집중하고 사회적가치에 대해서는 보상이나 인센티브가 거의 없었다"고 지적했다.
사회적가치란 단순히 경제적 이윤을 창출하는 것을 넘어,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행복을 증진하는 것을 뜻한다.
최 회장은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사회적가치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회적가치의 측정과 관리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사회적가치는 쉽게 측정할 수 없어, 사회적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자원의 최적 배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며 인공지능(AI) 등 기술변화가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음을 짚었다. "현재는 디지털 기술과 AI라는 측정 측면의 아주 좋은 도구가 있어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는 게 최 회장의 진단이다.
최 회장은 "사회적가치의 체계적 측정과 평가가 가능해지면 우리는 자원을 다르게 배분하고 행동을 바꾸기 위한 인센티브를 만들 수 있다"고도 강조했다.
특히 최 회장은 이를 '새로운 자본주의'라고 칭하고, 자본주의가 재무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가치를 포함하게 되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훨씬 더 나은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이제 기업의 핵심성과지표(KPI)는 재무적 가치 창출에 머물지 않는다"며 "최소한 사회적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것을 넘어, 매년 이를 지속적으로 높여가는 것이 목표가 됐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은 같은 날 열린 '비즈니스 리더 세션' 패널로도 참석했다. '새로운 시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자본주의 모델 탐색(Exploring Sustainable Models of Capitalism for a New Era)'을 주제로 한 이 자리에서 최 회장은 후지이 데루오 도쿄대 총장, 이와이 무츠오 일본경제동우회 회장 대행 겸 일본담배산업 이사회 의장, 이한주 뉴베리글로벌 회장 등과 함께 기업·정부·사회가 함께 사회문제를 해결하며 성장하는 모델인 ‘협력적 자본주의(Collaborative Capitalism)’와 AI 등을 활용한 실천 가능한 해결책에 대해 논의했다고 SK가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