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 발언.."국민께 사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출처: 금융감독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출처: 금융감독원]

|스마트투데이=김국헌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25일 티몬·위메프 사태 검사반을 검사인력 6~7명 내외로 구성해, 현장에 파견해 조사 중이라고 밝히고, 국민께 사과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업무보고 직후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 "오늘 검사인력 약 6명 정도를 파견해서 (상품권과 티몬캐시 피해규모를) 어느 정도 숫자를 파악하고 있다"며 "업체에서 보고한 내용에 기초해서 그 숫자가 적정한지, 구체적인 실재성 등에 대해 현장점검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는 나중에 7명 내외라고 정정했다.

큐텐의 정산 지연이 1년 전부터 있었다는 지적에 대해 이복현 원장은 "2022년 6월부터 (이커머스 업계 경쟁 심화로 인한 유동성 문제로) 재무상황 악화와 관련해 경영개선협약을 맺고 경영지도 형태로 분기별로 관리했다"며 "입점업체 정산 지연 문제는 올해 7월부터 관리했다"고 확인했다.

이어 그는 "상거래업체 간 협약에 따른 정산 기한 연장은 그 전에 정상적으로 됐던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면서 "다만 협약이 없는 형태의 지연은 7월부터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복현 원장은 "금감원이 큐텐의 자구책을 직접 조사했고, 금융위원회에도 보고했다"며 "오전 중에 기획재정부를 중심으로 차관급 회의를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국민들이 아셔야 될 사항을 최대한 빨리 국민과 국회에게 보고하겠다"고 밝혔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도 "오늘 오후나 조만간 (티몬·위메프 사태에 관해) 정제된 브리핑을 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피해 규모에 관해서는 이복현 원장은 구체적인 언급을 꺼렸다. 금감원이 파악했지만, 시장의 충격 등을 우려해 공개적인 자리에서 밝히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복현 원장은 9월부터 시행하는 전자금융법 개정안 덕분에 "예치금이라든가 소비자 보호 조치가 가능하지만, 입점업체에 대해서 지급해야 할 정산금에는 사실 그런 장치(전자금융법)가 없는 것은 맞다"고 인정했다.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은 금감원이 머지 사태 후 선불업 실태 점검을 하겠다고 했지만 티몬 사태가 재발한 책임을 묻고 싶다는 질타에 이복현 원장은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국민께 걱정을 끼쳐드린 데 대해 금융당국을 대표해서 사과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복현 원장은 "사안의 엄중함을 매우 깊게 인식하고 있다"며 "최대한 역량을 동원해서 피해자 보호와 피해 확산 방지, 확보된 유동성으로 피해변제가 이루어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