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24일 거대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 공개 예정인 네이버가 챗GPT와 바드 등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이 주도하는 AI시대에서도 한국 시장에 대한 주도권을 잃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가 나왔다.
안재민 NH투자증권은 "네이버는 24일 하이퍼클로바X를 공개하면서 AI 사업을 본격 시작할 예정"이라며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국내 시장에서 주도권을 잃지 않을 것으로 기대하며, 또 일본이나 비영어권 국가로의 확장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당사는 네이버가 오랫동안 준비한 AI가 기보유하고 있던 네이버의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며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이 AI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네이버가 시장을 리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네이버는 24일 ‘Dan23’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AI 사업 전반에 걸친 로드맵과 비즈니스 모델을 공개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를 통해 커머스, 콘텐츠, 광고 등 기존 사업의 성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업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B2B 영역에서도 생태계 구축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쏘카, 스마일게이트, 한컴 및 다수의 스타트업과 제휴를 체결했다.
안 연구원은 특히 "이번 컨퍼런스에 앞서 네이버 CEO 최수연은 주주서한을 통해 ‘제 4의 전환기’로 명명한 생성형 AI 시대에서도 네이버가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을 발표했다"며 "네이버의 경쟁력을 유지해 나가겠다는 자신감을 피력했다"고 판단했다.
관련기사
김세형 기자
eurio@smarttoday.co.kr
다른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