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 등 마이크로모빌리티 운영 5社, 이륜차 도시 사용 권장 10항 공동 발표

 * 사진=라임
 * 사진=라임

도심내 마이크로모빌리티 운행이 늘면서 관련 사고도 급증세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의 속도가 안전속도일까?

공유 e스쿠터 또는 바이크 운영사업자들이 권장하는 속도는 시속 20km에서 25km. 서울에서 운영되는 따릉이의 평균속도가 15km이고, 동호인들이 즐겨 타는 로드자전거 시속이 평균 40km 안팎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그 중간쯤 정도가 안전한 속도라는 제안이다. 

라임(Lime) 등 5개 공유 e-스쿠터 또는 e-바이크 운영 사업자들이 도시가 공유 마이크로모빌리티 차량을 공공 교통 시스템에 더 잘 통합할 수 있도록 10가지 권장 사항을 함께 발표했다. 이들은 3쪽 분량의 권장사항을 문서로 작성해 발표하고, 이를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발표에 참여한 글로벌 마이크로모빌리티 사업자는 라임을 비롯해 도트(Dott), 슈퍼피데스트리언(Superpedestrian), 티어 모빌리티(Tier Mobility), 보이(Voi) 등이다. 이들은 발표문에서 "안전하고 잘 통합된" 공유 이륜전기 마이크로모빌리티로 도시가 탄소 배출 제로 교통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레임워크를 공동으로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이들 5개 회사는 전세계 37개국에서 75만 대 이상의 e-스쿠터/e-바이크 차량을 운영하고 있다.

10가지 권고안은 마이크로모빌리티 서비스의 조직과 운영을 모두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권고안은 두 가지 주제로 나뉘어 있다.

하나는 서비스가 기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정의하는 것이며, 또 다른 하나는 장기적으로 재정적으로 지속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규제하는 최선의 방법을 강조하고 있다. 

회사들은 통근 또는 학교의 등하교 등 마이크로모빌리티 서비스를 가장 빈번하게 이용하는 사람들의 신뢰성 제고를 추구하는 공통의 목표를 위해 공동 노력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들은 운영하는 마이크로모빌리티 차량의 규모와 공급업체의 계약 기간에 대한 권고도 포함했다. 

권고안은 또한 도시의 거리에 마이크로모빌리티 수단을 늘리는 것이 도시를 더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운영자에 대한 인센티브도 제안했다. 운영자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프레임워크는 데이터 공유 프로토콜, 공급업체 수수료 및 공급업체 선택 프로토콜에 대해 더 많은 기술적 제안을 넣고 있다. 시정부에 대해 신뢰성, 안전성, 지속 가능성 및 차량 관리를 최우선 선택 기준으로 고려하도록 장려한다.

권고안은 마이크로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할 공급업체가 선정되면 이들의 서비스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넉넉한 주차 공간이 주어져야할 것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속도는 시속 20~25km 정도가 적당하다고 보았다. 

운영자들은 주민들이 마이크로모빌리티에 친숙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이들이 영원히 지속 가능하고 탄소 배출이 없는 교통수단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운영과 충분한 영역의 확보, 실용적인 주차공간이 필수적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서비스 5사는 권고안에서 "짧은 시간 동안 마이크로모빌리티 산업은 눈부신 성장을 기록했고, 도시에서 자동차 사용을 줄이는 가장 강력한 경쟁자로 자리잡았다“면서 ”지속 가능성과 글로벌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업계의 전문 지식을 결합해 마이크로모빌리티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한 권장 사항을 개발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단체는 "공동 권고안을 통해 우리는 지속 가능한 서비스로 이어지는 조건이 무엇인지 보여주고, 시 당국과 협력하여 이러한 권고안을 실행에 옮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들 마이크로모빌리티 사업자들이 내 놓은 권고안에 대한 비판 여론도 있다. 사용자 관점 보다는 서비스 사업자의 관점이 주로 반영돼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마이크로모빌리티 비즈니스가 활성화되려면 거리에서의 안전성을 최고로 끌어올리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며, 사업자들은 안전성 제고부터 해결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