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공공 데이터 활용 우수사례로 뽑아

스마트한 운전자를 위한 통합 주정차 단속 사전 알림 앱 ‘휘슬(Whistle)’이 우리 정부가 선정하는 공공 데이터 활용 우수 사례로 선정됐다. 휘슬은 양질의 공공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12일 행안부에 따르면 휘슬은 헥토그룹과 회사 관계사로 편입된 아이엠씨티가 공동으로 개발한 서비스 브랜드다.
휘슬은 전국 통합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를 제공해 과태료 부과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어플(앱)이다. 과태료 확인 및 납부, 무료 교통 법률 상담 서비스, 테슬라 자체 급속 충전소 ‘슈퍼차저’ 정보 공유, 개인정보 노출 없이 차 번호로 대화하는 휘슬채팅 등 운전자와 관련된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휘슬의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는 불법 주정차 차량으로 단속되기 전 알림을 보내 주정차 금지 구역에 주차된 차량 이동을 유도해 운전자의 실수로 인한 과태료 부과를 막아 주고 주차 질서 확립에 기여한다. 단속 알림과 함께 주변 주차장 정보를 제공해 운전자의 편의와 교통 질서 확립 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최근에는 차에 리콜 정보가 발생하면 푸시 알림으로 알려주는 리콜 정보 제공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공공 데이터의 우수한 활용 사례를 공공 데이터 포털에 소개하며, 기업의 공공 데이터 활용을 독려하고 있다. 휘슬 서비스와 관련한 카드뉴스 및 인터뷰 영상은 행정안전부 및 공공 데이터 포털 홈페이지, 행정안전부 공식 유튜브를 통해 업로드될 예정이다.
휘슬 담당자는 “휘슬은 그동안 공공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이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개발해왔으며, 이를 인정받아 공공 데이터 활용 우수기업 사례로 소개되는 영광을 얻었다”며 “앞으로도 휘슬은 활용 가치가 높은 공공 데이터를 접목해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안전한 교통 문화를 함께 만들어가는 서비스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휘슬은 경기도 안양시, 파주시, 이천시, 충남 천안시, 경남 남해군, 부산 해운대구, 제주도 제주시 등 전국 37개 지자체에서 통합 주정차 단속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도르트문트, 에너지 유틸리티와 함께 새로운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공동 관리
- [이태원참사]이준석이 제안한 스마트시티 원칙
- 전주시·LX, ‘2022 스마트시티 전주 컨퍼런스’ 개최
- 한국형 스마트시티 기술, '세계 속으로'
- [초점] 로보택시와 택배로 기지개 켜는 자율주행차(AV)…여전히 갈 길은 멀다
- 경기도민 70%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에 도입해야”
- (초점)스마트시티 5가지 성공방정식
- 도시의 회복력 증진을 위해 록펠러재단 100RC가 남긴 유산들
- (초점)스마트시티가 살맛나는 도시로 거듭나는 法
- 캘리포니아 산호세, 최소 주차 요건 폐지…확산되는 미국 주차장 개혁
- 후방카메라 불량 등 아우디·테슬라 '자발적 리콜'
- 일회용 컵 '퇴출'.."아이 러브 다회용컵"
- 아우디·기아·벤츠 13개 차종 2만여대 리콜
- 현대엔지, APT 전기차충전 인프라 확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