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투데이=김세형 기자| 올해의 연구개발(R&D) 대표 기술 선정을 위한 '2024 산업부 R&D 대표 10선' 온라인투표가 11일 0시부터 시작된다.
올해의 연구개발(R&D) 대표 기술 선정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혁신의 해를 맞아 처음 시작했다.
지난해 △반도체: HBM 반도체 공정기술 및 소재(호진플라텍) △기계: K9 자주포용 1000마력급 엔진 부품 국산화(STX엔진) △우주항공: 초음속 경공격기의 레이저 유도 폭탄 지상표적 정밀 조준 통합 시스템(KAI) △로봇: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의 운동보조 로봇슈트(엔젤로보틱스) △자원회수: 폐리튬 이차전지의 회수 자원 고부가가치화(성일하이텍) △바이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배양육 생산 기술(서울대) △바이오: 열대지방 중증 뎅기열 바이오마커와 현장 진단용 기기(젠바디) △이차전지: 전기차용 고용량 하이니켈 양극재(포스코퓨처엠) △전력: 송전급 초전도 XPLE 케이블 시스템 실계통 기술(LS전선) △풍력: 8MW급 대용량 해상풍력발전 시스템 개발(두산에너빌리티) 등이 선정됐다.
선정 방식은 전문가위원회를 통해 20선을 선별하고, 온라인 투표를 통해 최종 10선을 선정하게 된다.
투표는 11일 0시부터 24일 자정까지 진행된다. 투표 기간 중 온라인투 실시간 순위 현황도 공개된다. 발표는 31일 오전 11시 이뤄진다.

자세한 사항은 투표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된다. "내가 선택한 산업기술은?" 바로가기
올해 R&D 대표 기술 투표 대상 20선은 다음과 같다.
◇ 풍원정밀
-디스플레이
-에칭법에 의한 고해상도 OLED용 6GH급 및 8G급 FMN 제조 기술개발
◇ 어보브반도체
-반도체
-2032dBm의 입력 범위를 갖는 모바일 및 가전기기향 통합(WPCA4WPRF) 무선충전 송수신 SoC 기술 개발
◇ 에코프로비엠
-2차전지
-고출력 특성 확보가 용이한 코발트 저감형(Co3%) high Ni계 양극소재 제조기술 개발
◇ 하나머티리얼즈
-핵심소재
-시스템반도체향 고밀도 플라즈마 장비 부품용 대구경 단결정 실리콘 소재 개발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방산
-유무인겸용 분산추진 수직이착륙 1인승급 비행시제기 시스템 개발
◇ 포스코
-에너지신산업
-코크스오븐활용 CO2 취입전환기술 실증
◇ SK시그넷
-에너지신산업
-초고속 충전을 위한 400kW급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개발
◇ 파크시스템스
-반도체
EUV 마스크 결함 자동 계측 및 분석 기반의 AFM 자동 리페어 시스템 개발
◇ 두산에너빌리티
-에너지신산업
-복합화력발전 가스터빈용 소재 기술 개발
◇ 알멕
-미래모빌리티
-고온열화 특성이 우수한 초고강도 알루미늄 압출재 및 부품화 기술개발
◇ 현대제철
-핵심소재
-수송기기 경량화 대응 고강도, 고성형성 5000계 및 6000계 저원가 알루미늄 판재 합금설계 및 연속제조기술 개발
◇ 덴티스
-첨단바이오
-AI 기반 환자맞춤형 1Day 치과 투명교정치료 플랫폼 개발
◇ 엔켐
-2차전지
-전기차 주행거리 연장을 위한 고에너지밀도 (>300 Wh/kg)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액 상용화기술 개발
◇ 현대로템
-미래모빌리티
-수소전기트램용 시스템 통합 및 검증 기술개발
◇ 아스플로
-첨단제조
-최대 직경 400A UHP급 강관 및 ParticleFree 고정밀 모듈 개발
◇ 넥스트칩
-반도체
-다중센서 기반 Level3 이상의 자율주행자동차를 위한 신호처리 SoC 및 플랫폼 개발
◇ LG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프리폼 디자인이 가능한 전장 및 스마트기기용 20% 연신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제품화 기술 개발
◇ 티로보틱스
-지능형로봇
-8.5세대 부하물 350Kg 이상 작동거리 7m 이상의 OLED 마스크 및 유리기판 이송용 진공로봇 개발
◇ 플라즈맵
-첨단바이오
-의료용 임플란트의 플라즈마 멸균 및 표면 재생 활성화 기술
◇ 에이치엘클레무브
-미래모빌리티
-자율주행용 HighResolution 3D SolidState 라이다 기술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