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달리 생성 이미지
챗GPT 달리 생성 이미지

|스마트투데이=김세형 기자| NH투자증권은 5일 "최근 주식시장의 단기 급락은 일정 수준 회복되겠지만, 주식시장은 미국 대선 전까지 레벨 다운된 박스권, 혹은 하락 추세 진행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했다. 

NH투자증권은 지난 상반기 주식시장 랠리는 유동성, 미국 연방 정부와 민간 투자, 일부 기업의 독점적 지위 등에 기인했다며 그러나 이들 부분에서 균열이 발생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우선 미국 금융시장의 유동성은 여전히 풍부하지만 그러나 향후 일정 기간 동안은 Fed의 기준금리 인하 속도와는 무관하게 금리 인하의 성격을 단언하기 어렵다고 봤다. 

상반기에는 금리 인하가 증시의 상승 동력이 됐지만 지금의 금리 인하는 경기 침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최근의 분위기 변화를 반영했다. 

NH투자증권은 "현재 장단기 금리차와 실업률 수준에서는 기준금리 인하 폭이 너무 빠르거나, 느려도 금융시장의 ‘R의 공포’가 지속될 수 있다"며 "두세 번의 금리 인하 이후 경기지표 안정화가 나타나야 금융시장은 보험성이나 정상화 금리인하로 인지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둘째로는 미국 양당의 대선 주자 지지율이 박빙으로 지속되는 경우, 연방 정부 투자와 민간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존하게 된다며 그동안 정책 모멘텀이 금융시장을 견인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미 대통령 확정 이후 감세 모멘텀이 확대되거나, 연방 정부 투자 모멘텀이 재확인돼야 한다고 봤다. 

셋째로는 일부 기업의 독점적 지위 현상에 대한 대안이 확대되고 있는 점을 꼽았다. 대표적인 것이 엔비디아다. 

NH투자증권은 "엔비디아 칩은 아직까지 성능에서 대체 불가한 칩이고, 클라우드 독과점 체제가 변화될 가능성은 낮으며, 궁극적으로 AI 빅트렌드의 패러다임의 지속은 자명하다"며 "그러나, 공급 부족과 고프리미엄에 대한 피로감으로 저사양에 대한 대안이 확대되고, 과수요에 대한 의문이 나타난다는 점은 프리미엄이 일정 부분 해소될 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NH투자증권은 "현재 미국 성장률 레벨, 산업생산, 재고, 소비 등을 감안할 시 미국 성장률이 곧바로 전분기대비 두 번 연속 마이너스(-)로 진입할 가능성은 낮다"며 "그러나 장단기 금리차, 실업률, Salm Rule 등 과거 침체를 예고했던 지표들로 인해 경기 침체에 대한 갑론을박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병연 연구원은 "KOSPI는 하반기 예고했던 밸류업 프로그램 실시, 여전히 견조한 기업 실적에 따른 낮은 밸류에이션 등에 따른 지수 하방 지지력을 통해 직전 회기 기준 PBR 0.95배에서 단기 지지력 확보 후,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모멘텀이 재확인되는 시점에 상승 추세 복귀를 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 

 8월2일 종가 기준 KOSPI 밸류에이션은 12개월 선행 PER 9.2배, 12개월 선행 PBR 0.91배. 12개월 후행 PBR 0.97배로 계산됐다. 

그는 "당분간 KOSPI는 2,600~2,800P 내 박스권이 예상된다며 박스권에 맞춰 대응할 것을 권고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