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UAM 상용화 기반 마련 위한 업무협약 체결

현대자동차는 UAM(Urban Air Mobility: 도심항공교통) 컨소시엄 'K-UAM 원 팀'이 인천광역시와 도심항공교통 서비스 생태계 구축과 상용화를 위해 협력한다고 9일 밝혔다. K-UAM 원 팀은 현대차를 비롯해 KT,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공사, 현대건설 등 5개 사가 국내 도심항공교통 서비스의 성공적 실현을 위해 2021년 처음 결성한 컨소시엄이다.
K-UAM 원 팀이 지자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향후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를 연결하는 수도권 UAM 서비스를 운용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섬을 활용한 UAM 기체 테스트 측면에서도 인천시에 위치한 수 많은 섬들의 활용도 역시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K-UAM 원 팀과 인천시는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인천시 도서지역 및 도심의 UAM 운용 체계 수립 ▲ UAM 생태계 구축 및 사회적 수용성 증대를 위한 활동 ▲ UAM 광역 연계 교통서비스 상용화 준비 등 도심항공교통 상용화의 기틀 마련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양 측은 도심교통항공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도록 관련 정책 및 제도 수립에 적극 나서는 한편, 민관협의체 운영을 통한 신규 과제 발굴과 업무 협업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현대차 AAM본부 사업추진담당 김철웅 상무는 "이번 업무협약은 인천시의 주요 도심을 연결하는 항공 운송을 실현하고 도서지역들의 이동 편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인천시뿐 아니라 향후 수도권 UAM 서비스 연계 운용을 위해 다른 지자체와도 협력을 모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정복 인천광역시장은 "UAM은 도시의 공간구조와 시민들의 삶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며 "5사와의 협력을 통해 UAM 시대를 열어 도시화 문제와 기후위기를 해결하고 인천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9일부터 이틀간 개최되는 2023 K-UAM 컨펙스에 참가해 UAM 콘셉트 기체를 전시하고 AAM(Advanced Air Mobility) 비전을 소개한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UAM 법인인 슈퍼널(Supernal)을 통해 지난 10월에 열린 한국 최대 에어쇼 ADEX 2023에서 2028년 론칭을 목표로 개발 중인 UAM 기체의 인테리어 콘셉트 모델을 국내 최초로 공개한 바 있다.
- BYD 점유율 20.6%..2위 테슬라와 격차 늘려
- 3일 고흥 상공에서 K-UAM 첫 공개 비행...2025년 상용화 추진
- LG전자·현대차·유튜브, 제네시스 GV80 신모델용 콘텐츠 플랫폼 공급
- LG유플러스, 현대차와 '로봇 친화형 빌딩' 통신 인프라 만든다
- 현대모비스, 예상치 충족한 3분기 수익력..주가 3%↑
- 현대차, 채용전환형 '서비스 엔지니어 인턴' 모집
- 현대차 '아반떼 N TCR','2023 TCR 월드투어' 호주 대회 우승
- 현대차그룹, 모빌리티 분야 개발자 대회 '제3회 HMG 개발자 컨퍼런스' 개최
-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대영제국훈장 수훈…찰스 3세 즉위 이후 한국인 최초
- 현대차 신재원 사장 "민항기 수준 안전한 UAM 기체 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