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처리 업무협약·인조잔디 인프라 공장 설립 등 업무협약 체결

중동 경제사절단에 참여한 코오롱글로벌이 사우디 현지업체와 두건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왼쪽부터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와 압둘라흐만 알스왈림 마스코 회장 (사진. 코오롱글로벌)
중동 경제사절단에 참여한 코오롱글로벌이 사우디 현지업체와 두건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 왼쪽부터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와 압둘라흐만 알스왈림 마스코 회장 (사진. 코오롱글로벌)

중동경제사절단에 참여한 코오롱글로벌은 사우디아라비아(이하 사우디) 리야드 지역에서 열린 ‘한-사우디 투자포럼’에서 현지업체 2곳과 수처리 및 생활 인프라 분야에 걸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김정일 코오롱글로벌 대표이사는 사우디 ‘마스코(MASCO)사와 ‘사우디 국영수자원공사(NWC) 발주 프로젝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업무협약은 마스코측이 수처리 부문에 강점을 지닌 코오롱글로벌에 ‘러브콜’을 보내면서 성사됐다. 코오롱글로벌은 중동을 비롯해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역에서의 상·하수도 시설 및 수처리 관련부문에서 다양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국내 최초로 ‘저에너지 분리막(멤브레인) 수처리 기술’ 등을 통해 수처리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양사는 향후 사우디 국영수자원공사의 대규모 발주사업에서 공동참여 및 협력을 약속했다. 코오롱글로벌은 사우디 국영수자원공사의 수처리 사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같은 날 사우디 제조유통 회사인 ‘파이드(FAIDH Co.)’사와 ‘인조잔디 생산 공장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도 체결했다.

코오롱글로벌은 그룹 계열사인 코오롱글로텍이 보유한 세계 최초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 인조잔디’ 생산 기술을 활용해 사우디 내 인조잔디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코오롱글로벌은 사우디를 교두보로 인조잔디 사업을 주변 중동 지역으로 확대 적용해 나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사우디는 ‘사우디 비전 2030’에 따라 국가적 차원에서 스포츠 산업 및 생활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해 기준 연 3만 톤 규모의 인조잔디를 수입했다.

코오롱글로벌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은 사우디아라비아 기후 및 인프라 등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현지 수요를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라며 “현지업체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네옴시티 프로젝트의 윤곽을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코오롱글로벌은 지난해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이 단장을 맡은 사우디 수주지원단 ‘원팀 코리아’에 참여하고 현지 및 해외 유력 업체들과 농업 인프라, 모듈러 등 다방면에 걸쳐 잇달아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사우디 네옴시티 및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전방위적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