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8개 시범운행지구 신규 지정
도입 3년만 15개 시도 24개 지구 확대

청와대와 여의도 일대의 노선버스에서 자율주행기술을 만날 수 있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자율차 시범운행지구 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8개 지구를 새롭게 지정했다고 22일 밝혔다. 서울 청와대·여의도·중앙버스전용차로, 충북 혁신도시, 충남 내포신도시, 경북 도청신도시, 경남 하동, 제주 첨단과학기술단지 등이 신규 지정을 받았다.
시범운행지구는 자율주행 서비스에 필요한 특례를 받을 수 있는 지역이다. 2020년 5월 첫 도입 이후 5차례에 걸쳐 확대돼 왔다. 이번 지정으로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가능 지역은 기존 12개 시·도 16개 지구에서 15개 시·도 24개 지구로 확장됐다.
서울 중앙버스전용차로의 경우 합정에서 청량리 사이의 구간을 전국 최초로 자율주행 심야버스로 운행한다. 종로구, 중구, 마포구, 서대문구, 동대문구 일대 총 13.2km를 달리는 노선에서 5대의 버스가 운행을 앞두고 있다.
청와대와 경복궁 사이에는 2대의 노선버스가 3.8km를 달릴 예정이다. 서울 영등포구 여의서로에서 국회 내부에 이르는 구간에도 2대의 버스가 투입된다.
경남 하동에는 4대, 경북 도청 신도시에는 2대, 충북에는 10대의 자율주행버스가 노선 구간을 운행할 예정이다. 충남 내포신도시에는 노선버스 1대와 방범·불법주정차단속버스 1대를 투입해 자율주행과 공익강화라는 두가지 효과를 꾀하고 있다.
제주 첨단과학기술단지에는 1대의 노선버스가 총 11.7km에 이르는 10개의 도로를 운행할 예정이다.
이밖에 서울 청계천 구간과 대구광역시의 경우 당초 계획을 변경키로 결정했다. 서울시는 청계천로 일대 기존 8.8km의 구간을 9.9km로 늘렸다. 대구시 역시 당초보다 18.2km를 추가해 총 40.8km 구간에서 승용차 4대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지난해 9월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에서 발표한 시범운행지구의 전국 17개 모든 시·도 확산 계획은 당초 목표한 2025년보다 더 빨리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자율주행 리빙맵, 모빌리티 혁신도로, 자율주행 기반 대중교통 전환 등 혁신 주요 과제들이 시범운행지구와의 시너지 효과를 거두도록 관련 정책을 짜임새 있게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