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성향 분석에서 딥러닝 알고리즘 버트 능가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성향을 판단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최근 챗GPT가 연준의 성명이 매파적인지 비둘기파적인지를 해독하는데 있어 인간에 가까운 것을 발견한 논문이 발표됐다고 전했다.
리치먼드 연방준비은행의 앤 룬드가드 한센, 소피아 카니닉은 '챗GPT가 연준 성명을 해석할 수 있을까?'(Can ChatGPT Decipher Fedspeak?)란 논문을 발표했는데, 챗GPT가 구글의 최첨단 딥러닝 알고리즘 버트(BERT)를 능가하는 것을 발견했다. 또 챗GPT는 중앙은행의 자체 애널리스트와 유사한 방식으로 연준 정책 설명의 분류를 설명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2013년 5월 연준의 성명에서 "최근 몇 달 동안 노동 시장 상황이 균형적으로 약간 개선되었지만, 실업률은 여전히 상승했다"라는 문장을 두고 챗GPT는 연준이 비둘기파적 성향을 보여줬다고 해석했다. 그 이유는 경제가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는 것을 암시하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논문은 이 해석은 애널리스트의 결론과 비슷했다고 전했다.
두 번째 연구는 기사 헤드라인이 주식에 좋은지 나쁜지를 판명하는 것이었는데, 연구 결과 오픈AI의 챗GPT 기술은 구문 분석 뉘앙스와 맥락 측면에서 새로운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줬다.
미 플로리다대학의 알레잔드로 로페즈-리라, 유에후아 탕은 챗GPT가 교육받지 않은 2021년말 이후 뉴스를 사용해 기업 뉴스 헤드라인을 해석하도록 했다.
예를 들어 '리미니 스트리트가 오라클에 대해 벌금 63만달러를 부과했다"는 헤드라인에 대해 챗GPT는 "이 벌금은 잠재적으로 오라클의 지식재산권을 보호하고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는 능력에 대한 투자자의 신뢰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긍정적"이라고 해석했다.
블룸버그는 챗GPT가 보여준 발전은 특별한 훈련을 받지 않고도, 다시 말해 훈련 데이터가 거의 또는 전혀 없어도 유용한 패턴 인식을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연준을 연구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런 소위 '제로샷 학습'은 이미 이전 기술을 능가하며 구체적인 예를 바탕으로 일부 미세조정을 할 경우 훨씬 더 결과가 좋았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