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투데이=이재수 기자| 서울 시내 최대 규모의 지구단위계획으로 알려진 용산 지구가 6개 구역으로 재편된다.
서울시는 13일 열린 제18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용산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변경)안’을 수정가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서울역에서 한강대교에 이르는 한강대로 일대 약 345만㎡ 규모의 기존 지구단위계획을 6개 구역으로 재편하는 내용이 핵심이다.
해당 지역은 1995년 최초 지정됐지만 구역 규모가 지나치게 넓어 계획 변경과 행정 절차에 장기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지적돼 왔다. 이번 재편을 통해 지역 특성과 주민 요구에 맞춘 맞춤형 개발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새롭게 조정된 구역은 △서울역 일대(71만㎡) △남영역 일대(36만㎡) △삼각지역 일대(73만㎡) △한강로 동측(40만㎡) △용산역 일대(105만㎡) △용산전자상가(12만㎡) 등 총 6곳이다.
서울역 일대는 국제관문 기능을 강화하고 남산까지의 보행·녹지축을 확충하고, 남영역 일대는 서울 도심과 용산을 연결하는 한강대로 중심의 업무축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삼각지역 일대는 용산공원과 맞닿은 입지와 중저층 주거지의 특성을 고려해 도시정비를 유도하고, 한강로 동측은 용산공원 및 ‘용산新중심’과 연계한 주거·업무·녹지 복합공간으로 조성된다.
용산역 일대는 국제업무 기능 중심의 미래 성장거점인 ‘용산新중심’으로 조성하고, 용산전자상가는 AI·ICT 기반의 미래 신산업 혁신거점으로 재편된다.

특별계획구역은 기존 기존 59개소에서 68개소로 확대된다. 특히 용산전자상가 일대에는 11개 특별계획구역이 지정돼 엔비디아처럼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이 중 8개 구역은 이미 세부개발계획 수립 등 실질적인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용산우체국 주변 등 2개 특별계획구역은 주민 의견을 반영해 구역 지정을 해제하고, 개별 필지 단위의 건축을 허용할 예정이다. 특히, ‘용리단길’ 상권으로 활성화된 용산우체국 일대는 기존 가로조직을 유지하면서 특성에 맞는 중·소규모 건축을 유도할 계획이다.
시는 광과문에서 서울역, 용산을 거쳐 한강으로 이어지는 한강대로 일대를 국가상징거리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 구간의 최고 높이 기준을 100m에서 120m로 완화하고, 사업계획과 지역 특성에 따라 추가 완화도 검토할 예정이다. 그동안 민원을 초래했던 공동개발 지정계획은 전면 해제해 개발 규제를 완화한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이번 계획 결정으로 국가상징거점인 용산 광역중심 일대가 미래 신도심으로 위상이 한층 강화되고, 효율적인 구역 재편으로 도시행정 절차가 더욱 신속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