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 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스마트투데이=이은형 기자 | 금융당국이 주식 빚투(빚내서 투자)에 대해 전향적인 입장을 내비쳤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빚투(빚내서 투자)를 그동안은 너무 나쁘게만 봤는데 '레버리지 투자'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고 뉴스1이 전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적정한 수준의 포트폴리오를 관리해야 하고, 감내 가능한 수준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권 부위원장은 이날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빚내서 투자하는 빚투 투자자가 늘어서 우려되지 않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권 부위원장은 "제가 사무관 때 분석한 자료를 국민에게 소개하고 싶다"며 "부동산, 예금, 시가총액 상위 10개에 대해 투자한 결과 10년간 수익률은 주식 투자가 제일 나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샀다, 팔았다해서 (수익률이 안 나는 것이지) 10년 20년을 놓고 보면 낫다'며 "배당 수익이 좋은 곳이나, 가치주 중심의 장기적인 투자를 하시는 게 좋을 것 같다"고 제언했다.

권 부위원장은 최근 코스피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배경으로 다섯 가지 요인을 꼽았다.

그는 △시장 공정성 제고 노력 △주주가치 제고 노력 △상법 개정 추진 △기업 실적 개선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회의를 통한 불확실성 해소 등을 주요 요인으로 제시했다.

특히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한국에 와서 보여준 행보가 대한민국의 미래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이어 "국내외 여건과, 정부 의지 등 여러 측면에서 박자가 잘 맞는 시기라 순풍이 부는 것 같다"면서 "물론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유동성 장세인 만큼 투자자들도 이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코스피 5000 돌파 가능성'에 대해서는 "정부 당국자가 지수 이야기를 하는 것은 적절치 않지만, 당연히 가능하다"면서도 "숫자보다는 힘차게 우상향하는 대한민국 주가지수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날 권 부위원장은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인 주가조작 근절 위해 지난 7월 출범한 '주가조작 합동대응단'의 1호·2호 사건 성과를 소개했다.

그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모델로 한 한국형 SEC로 볼 수 있다"며 "그동안 주가조작 사건은 통상 15개월 정도 조사 기간이 걸려 국민 불만이 컸지만, 이를 6~7개월 수준으로 단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합동대응단은 시급성을 고려한 한시 조직이지만, 주가조작이 완전히 근절될 때까지는 계속 가동할 계획"이라며 "이후에는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