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투데이=이재수 기자| 서울 강남권 대표 노후 단지인 은마아파트가 재건축 추진 20년만에 본격적인 사업 속도를 내게 됐다. 서울시는 제9차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위원회에서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재건축 정비계획 변경안을 “수정가결” 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은마아파트는 역세권 용적률 특례를 적용받아 기존 법적 상한 용적률(300%)보다 높은 331%를 적용받아 최고 49층, 공공주택 1090가루를 포함한 총 5893가구의 거대 규모 단지로 거듭나 강남권 대표 랜드마크로 떠오를 전망이다. 전용면적별 가구수는 △59㎡ 1116가구, △76㎡ 1277가구, △84㎡ 1592가구, △96㎡ 978가구, △109㎡ 276가구, △118㎡ 368가구, △128㎡ 230가구, △143㎡ 56 가구다.
은마아파트는 상습 침수되던 대치동 땅을 한보주택이 헐값에 사들여 1979년에 준공한 14층 높이의 28개동, 4424가구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다. 1996년부터 재건축 추진준비위원회를 발족해 재건축을 추진해왔고, 2003년 추진위 승인을 받았다. 대치동 학원가의 성장과 맞물려 은마아파트는 강남 집값 상승의 근원지로 불리며 각종 규제의 타깃이 됐다. 또한 부동산 경기와 주민 갈등 등으로 사업은 장기간 정체됐다.
지난 2015년에는 소유주들이 최고 50층으로 재건축을 추진했으나 35층 층수 제한에 막혀 2023년 정비구역 지정 당시 최고 층수는 35층으로 일단락됐다. 이후 오세훈 시장 취임 이후 층수 제한이 폐지되면서 층수 상향 등을 포함한 사업이 급물살을 탔다. 은마아파트는 2023년에야 조합설립인가를 받았고, 사업시행인가 등을 준비중이다. 시공사는 삼성물산과 GS건설 컨소시엄으로 지난 2002년 선정됐다.
특히, 은마아파트에는 서울 정비사업 최초로 공공분양 주택이 공급된다. 관련 법에 따르면 역세권 등 정비구역 용적률을 법적 상한의 1.2배까지 추가 완화한 경우 완화한 용적률의 50% 이상을 공공분양 주택으로 공급해야 한다. 관련 서울시 조례는 지난해 3월 개정됐는데 은마아파트가 처음으로 적용됐다.
시와 조합은 완화된 용적률 일부를 공공임대주택(231가구)과 공공분양주택(182가구)으로 나눠 공급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은마 외에 신반포7차, 광장극동, 풍납극동, 명일한양 4개 단지에서도 역세권 용적률 특례를 적용받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는 대치역·학여울역 사이의 입지 특성을 살려 대치동 학원가 및 학여울역 인근에 2개의 공원이 새로 조성된다. 학원가 쪽 공원 지하에는 400대를 수용할 수 있는 공영주차장과 학원생들을 위한 개방형 도서관을 설치한다. 대치역 일대 침수피해 예방을 위해 4만㎡ 규모의 저류조도 설치한다. 단지 중앙에는 남북을 가로지르는 폭 20m의 공공보행통로를 만든다. 정비계획이 결정된 미도아파트의 공공보행통로, 양재천을 가로지르는 입체보행교와 연계해 대치동과 개포생활권이 한층 가까워진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서울시는 속도, 공공책임, 삶의 질 개선이라는 3가지 키워드를 핵심으로 재건축 공급 시계를 신속하게 돌려 더 많은 집을 더 빠르게 공급할 것"이라며 "은마아파트 정비계획 변경 결정은 3가지 키워드가 잘 이뤄진 대표적인 사례가 될 것이며, 용적률 완화로 추가 공급되는 공공분양주택은 공급대상과 방법을 구체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