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투데이=이재수 기자| 서울 송파구 잠실에서 분양한 ‘잠실 르엘’이 청약시장에서 또 한 번 ‘강남 불패’ 신화를 증명했다. 하지만 잠실르엘 흥행 이면에는 서민들의 내 집 마련 꿈이 점점 멀어지고 있는 현실이 반영돼 쓴 웃음을 자아내고 있다.
분양가 상한제는 주택시장의 안정과 실수요자 보호를 취지로 도입됐지만, 오히려 강남3구 고가 단지에 청약 수요가 쏠리며 빈익빈부익부 현상을 심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 1일 진행된 ‘잠실 르엘’ 1순위 청약에는 6만9476명이 몰려 평균 경쟁률 631.6대 1을 기록했다. 전용 59㎡B에는 무려 3만2755명이 신청해 761.7대 1의 최고 경쟁률을 보였다.
앞서 특별공급에서도 3만6695명이 몰려 평균 346.18대 1을 기록한 바 있어, 전체 청약자 수는 10만 명을 넘어섰다. 잠실 미성·크로바아파트 재건축으로 들어서는 ‘잠실 르엘’은 총 1865가구 규모의 대단지 아파트다.
잠실 르엘의 흥행의 배경에는 강남3구라는 입지뿐 아니라 분양가 상한제가 있다. 잠실 르엘 전용 74㎡의 분양가는 약 18억 원으로 책정됐다. 그러나 인근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동일 면적이 최근 31억 원에 거래된 점을 고려하면, 당첨자들은 최소 10억 원 이상의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어 '로또 분양'으로 불리며 높은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이는 자금 동원력이 없은 대다수 무주택 서민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6.27 부동산 대책에 따라 최대 6억 원까지만 대출이 가능해, 74㎡ 분양을 받으려면 최소 12억 원의 현금을 동원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특히 최근 강남3구 재건축·재개발 조합들이 하이엔드 브랜드를 선호하고 고급화 경쟁에 나서면서 분양가를 끌어 올렸다. 그 결과 실수요자 보호라는 분양가 상한제의 취지가 왜곡되며, 자산 양극화만 키우는 셈이다.
청약시장에서 서민들의 이탈도 뚜렷하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청약통장 가입자는 약 2,511만 개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7월 2,702만 개에서 191만 개가 줄어든 수치로, 3년간 무려 7.1% 감소했다. 감당할 수 없는 분양가 앞에서 청약 자체를 포기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분양가 상한제는 강남권 고분양가 단지의 ‘로또 청약’을 부추기며 무주택 실수요자보다는 고액 자산가에게 기회를 몰아주고 있다"며 "현금 부자들은 대출규제에도 불구하고 '강남불패'라는 믿음에 알짜 단지 청약을 싹쓸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