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투데이=이재수 기자| 지역주택조합(지주택) 사업을 주력으로 성장해온 서희건설이 정치권 수사와 정부 전수조사라는 이중 악재에 직면했다. 특검의 압수수색과 지주택 구조·조합 갈등 심화로 회사의 신뢰도와 사업 기반 모두가 위협받고 있다.
민중기 특검팀은 지난 11일 김건희 여사가 나토 순방 당시 착용한 고가의 반클리프 아펠 다이아 목걸이와 관련해 서희건설 본사와 관계자 주거지를 압수수색했다. 특검은 해당 목걸이가 서희건설 측에서 제공된 뒤 인사청탁 대가로 쓰였는지 여부를 조사 중이다.
JTBC 보도에 따르면, 이 목걸이는 2022년 대통령 선거 직후 서희건설 회장의 비서실장이 구매했으며 당시 가격은 5천만 원을 웃도는 것으로 알려졌다. 압수수색이 진행된 당일 서희건설 주식은 거래정지됐고, 거래소는 회사에 조회공시를 요구했다. 만약 해당 목걸이가 정치 뇌물로 판단된다면 서희건설은 대외 신뢰도 추락은 물론 장기적으로 신규 수주와 금융 조달에도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서희건설의 핵심 수익원인 지주택 사업도 고강도 조사를 맞았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6월 20일부터 7월 4일까지 전국 618개 지주택 사업의 분쟁 현황을 조사한 결과, 전체의 30%(187개) 이상에서 민원이나 분쟁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토대로 정부는 8월 말까지 모든 조합을 대상으로 실태 점검을 진행하고, 분쟁이 심각한 사업장은 특별 점검에 나설 계획이다.
점검 대상은 △조합원 모집 광고의 적정성 △가입 계약서의 불공정 여부 △회계 처리의 투명성 △공사비 증액의 타당성 등 조합원 피해와 직결되는 핵심 사안이다. 위반 사항이 적발되면 시정 명령이나 과태료 부과를 넘어 고발까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번 전수조사는 이재명 대통령의 ‘지주택 문제 해결’ 의지에서 시작됐다. 대통령 선거 당시, 대구 서구 내당3지구 조합원들은 경북 고령에서 유세를 하던 이재명 대통령을 찾아 “살려달라”며 시공사 서희건설로 인한 피해를 호소했다. 조합원들은 분담금이 계약 당시 3억 원에서 7억 원 이상으로 치솟았다며 불공정한 사업 진행을 주장해왔다.
서희건설은 지주택 부문에서만 누적 수주액 약 10조 원, 수주 잔고 약 2조 원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토지 확보 지연, 분양 실패, 추가 분담금 발생 등 구조적 불안 요소가 상존한다. 최근에는 일부 현장에서 공사비 증액 요구로 조합과 갈등이 심화되며 공사 지연과 입주 차질이 잇따르고 있다. 여기에 미분양 확대, 미청구공사액 증가, 영업현금흐름 악화까지 겹치며 재무 리스크도 한층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