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투데이=모빌리티팀 | 자동차 전문 리서치 컨슈머인사이트의 조사 결과, 국내 소비자 중 5명 중 4명은 중국산 자동차를 구매할 의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중국산 차에 대한 거부감이 큰 것으로 파악됐다.

13일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이번 조사는 2년 내 신차 구입 의향자 525명을 대상으로 매주 수행하는 신차 소비자 초기 반응을 통해 이뤄졌다. 이 가운데 5명 중 4명 꼴은 중국산 차에 대해 구입하지 않거나 재고할 것으로 생각한다. 국내 시판 브랜드 가운데 중국산 제품이 가장 많을 것으로 생각되는 브랜드는 볼보자동차(25%), 테슬라(23%), 메르세데스-벤츠(20%) 순으로 꼽았다. 이어 4위는 폴스타와 현대자동차가 공동으로 각각 10%를 기록했다.
또 중국산 비중이 가장 많을 것으로 생각되는 브랜드 순위도 볼보차(13%), 테슬라(12%), 벤츠(8%), 폴스타(4%), 현대차(3%) 순으로 비슷한 순서대로 나타났다.

전기차와 관련해선 중국산에 대한 거부감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입하려던 전기차가 중국산이라면 '그대로 구입하겠다'는 의견은 18%에 불과하고, 대다수가 '구입을 재고'(60%)하거나 '구입하지 않겠다'(23%)고 답했다. 그러나 20~30대는 중국산이어도 '그대로 구입하겠다'는 응답 비율이 25%로 비교적 높았다. 40대는 22%, 50대는 15%, 60대 이상은 11%로 고령층으로 갈수록 낮아졌다.
이런 성향은 구입 고려 차종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였다. 수입차 구입의향자와 전기차 구입 의향자가 20%대 중반으로 높았던 반면, 국산차, 비전기차 구입의향자는 각각 10%대에 그쳤다.
한편, 현재 국내 운행 중인 승용차 가운데 중국산은 볼보차 S90, 테슬라 모델3, BMW iX3, 현대차 쏘나타 택시 등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