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투데이=김세형 기자| 카카오가 지난 2분기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이익을 냈다.
카카오는 지난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1339억6400만원으로 지난해 2분기보다 18.5% 증가했다고 8일 공시했다.
매출은 2조48억9800만원으로 4.2% 늘었고, 순이익은 59.1% 확대된 871억4900만원으로 집계됐다.
예상치는 매출 2조736억원, 영업이익 1346억원, 순이익 1101억원이었다. 이에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실적을 냈다.

카카오에 따르면 사업 부문별로 플랫폼 부문은 2분기에 955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보다 10% 증가했다.
플랫폼 부문 중 카카오톡을 통해 광고·커머스 사업을 펼치는 톡비즈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5139억원을 기록했다. 톡비즈 중 비즈보드, 카카오톡채널 등의 광고형 매출은 3073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9% 늘었다. 선물하기, 톡스토어 등 거래형 매출액은 20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했다.
카카오톡의 2분기 기준 국내 MAU(월간 활성 사용자 수)는 4893만명으로 집계됐다. 회사측은 MAU 관련 "탄탄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모빌리티·페이 등이 포함된 플랫폼 기타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18% 증가한 3,35억원이다. 포털비즈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감소한 879억원으로 집계됐다.
카카오 사업의 또 다른 축인 콘텐츠 부문의 2분기 매출은 1조496억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슷했다.
콘텐츠 부문 내 뮤직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6% 증가한 5109억원이다. ‘아이브’, ‘라이즈’, ‘에스파’의 신보가 각각 170만장, 127만장, 117만장의 판매고를 올리면서 매출과 이익 성장을 이끌었다.

스토리의 2분기 매출은 215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감소했다. 일본 웹툰 시장 경쟁 심화에 대응하는 픽코마의 전략적 마케팅 확대로 비용이 증가한 영향이다.
미디어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2% 증가한 896억원이다. 제작 라인업이 하반기에 집중됐던 지난해 하반기 기저효과 때문이다.
카카오는 "어려운 대내외 환경 속에서도 카카오톡에서만 구현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이 카카오의 핵심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며 "톡채널과 선물하기 등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 사업 구조를 굳건히 하고, 카카오톡의 본원 경쟁력과 새로운 동력이 될 AI 신규 서비스 개발 등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