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부터 글로벌 전략회의 개최
'메모리' SK하이닉스, '스마트폰' 중국 등 경쟁사 위협에 '전전긍긍'

삼성전자 상임고문직으로 있는 권오현 전 삼성전자 회장은 '초격차' 전략으로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사업을 글로벌 1위로 도약할 수 있게 만들었다. 1등에 만족하지 않고 2등과 거리를 벌려 압도적인 기술로 시장 우위를 가지는 전략이다.
이는 반도체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가전, 디스플레이 등 삼성전자와 계열사의 다른 영역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2024년을 맞이하는 지금 삼성전자의 초격차 전략은 더 이상 통하지 않고 있다. 메모리 기술력에서 SK하이닉스에 1위를 위협받고, 스마트폰 제조도 중국과의 기술 격차가 좁혀졌다. 다른 영역에서도 더 이상 초격차가 보이지는 않는다.
이같은 상황에 맞서 새로운 전략이 나올 지 관심이다. 삼성전자 최고수뇌부가 모여 전략을 논의하는 글로벌 전략회의가 곧 개최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달 중순부터 '글로벌 전략회의'를 시작한다. 14일 디바이스경험(DX) 부문과 모바일 경험(MX) 사업부를 시작으로 15일 영상디스플레이(VD)와 생활가전사업부, 그리고 마지막으로 오는 19일 반도체(DS) 부문 회의가 진행된다.
삼성전자는 매년 6월과 12월 주요 경영진들이 모인 가운데 사업 목표와 전략을 점검하는 글로벌 전략회의를 진행했다.
올 한해 삼성전자가 다양한 영역에서 국내외 후발 주자들의 추격에 따라잡힌 모습을 보여주었기 때문에 업계 전문가들은 삼성전자의 이번 글로벌 전략회의에 이목을 주목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뿐만 아니라 기술력에서도 2위 기업에 따라잡히거나 자리를 빼앗기고 있는 상황이라 이번 전략회의가 무엇보다 중요한 상황이다.
이미 업계에서는 차세대 D램 시장의 리더가 더 이상 삼성전자가 아니라 SK하이닉스가 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SK하이닉스는 미래 먹거리인 인공지능(AI) 산업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HBM을 선두로 DDR5 등 최신 D램 기술에서 삼성전자보다 우위를 가진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 선두인 삼성전자의 자리도 위협 중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3분기 SK하이닉스가 D램 시장에서 46억26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34.3%의 점유율을 나타냈다고 밝혔다. 1위를 차지한 삼성전자와의 격차를 전분기 9.5%p에서 4.5%p까지 줄였다. 낸드 플래시 메모리 점유율은 삼성전자는 3분기 31.4%, SK하이닉스는 20.2%로 11.2%p의 차이가 났지만, 그 차이 역시 전분기 13.7%p보다 좁혀졌다.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삼성전자는 여전히 전 세계 1위 출하량을 유지하고 있지만, 더 이상 고급폰의 이미지는 가지고 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시장조사 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는 올해 글로벌 스마트폰 점유율 1위는 수성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하지만 점유율 1위인 국가 수가 지난해 46개 나라에서 올해 42개 나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현재 삼성전자가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하는 스마트폰의 70~80%가 갤럭시 A를 비롯한 중저가 제품이다. 고가형 제품에서는 애플이 당연히 1등이고, 중국의 최신 스마트폰에도 그 지위를 뺏길 상황이다.
-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에 김범준 전 우아한형제들 대표 영입
- 시중은행 홍콩ELS '호갱님' 길들이기 수법 들쳐봤더니...
- 청년도약통장으로 내집마련 해볼까
- 이수만에 등돌린 이성수 SM 전 대표, 지분 처분.."상대적 손실"(상보)
- 코오롱家 4세 이규호 부회장 승진...(주)코오롱 전략부문 대표이사 내정
- 삼성전자, '갤럭시 S23 FE' 내일 국내 출시
- 이통 3사, KCTV제주방송과 해저 광케이블로 제주-우도 연결
- 삼성 갤럭시 S24 울트라, 8K 5배 광학줌 동영상 촬영 가능할까?
- 삼성전자, 오늘부터 '글로벌 전략회의'…국내외 임원 300명 집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