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MAU 2020년 대비 2배 이상 증가

네이버 밴드 미국 MAU
네이버 밴드 미국 MAU

네이버는 네이버 밴드가 미국에서 월간 활성 사용자(MAU) 500만명을 돌파했다고 9일 밝혔다. 쾌거를 이뤘다. 집계는 지난 10월 기준이며, 2020년 대비 MAU가 2배 이상 증가했다. 

네이버는 20년 이상 다양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운영해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미국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맞춤형 기능을 개발하고, 밴드의 활용 범위를 더욱 확장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네이버는 지식iN, 블로그, 카페 등 대표 커뮤니티 서비스에 이어, 2012년에 커뮤니티 서비스 밴드(BAND)를 출시했다.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모바일을 통한 소셜 미디어 사용 비중이 높아지면서, 밴드는 모바일에 최적화된 그룹형 소셜 미디어로 큰 인기를 얻었다. 국내에서는 관심사를 중심으로 편리하게 모임을 가질 수 있는 소모임, 자기 계발 트렌드를 겨냥한 미션 인증 기능을 출시하며, 약 1800만명의 월간 활성 사용자를 보유했다.

네이버는 출시 2년 만인 2014년 미국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밴드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밴드는 2020년 이후 MAU가 2배 이상 증가하며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에서 밴드의 성장을 견인한 사용성은 방과후활동(After-School Activity)이다. 미국은 스포츠, 치어리딩, 댄스 등 방과후활동이 보편적이기 때문에 학생, 학부모, 코치 등 다양한 사용자가 소통하는데 그룹형 소셜 미디어인 밴드를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미국 내 초·중·고등학교에서 수업 및 학급 관리를 위해서도 밴드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종교, 회사, 취미, 가족, 스카우트, 비영리단체 등 다양한 분야로 밴드의 사용성이 확대되고 있다.

네이버는 북미 지역의 그룹 리더들이 그룹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그룹 관리 도구로써 밴드의 사용성을 강화하는 서비스 현지화를 진행했다. 미국 사용자 니즈에 맞춰 개발한 기능 중 대표적인 것은 캘린더 기능과 보호자 기능이다. 미국은 캘린더를 활용하여 초대를 보내고 참석 여부를 확인(RSVP)하는 문화가 보편적이기 때문에 밴드는 이러한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RSVP 대답 옵션을 다양화하고 사용자 본인 외 동행인까지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했다. 미국 학교에서 밴드의 사용성이 높아지면서 학생의 활동 내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보호자 기능을 추가했다.

네이버 커뮤니티CIC 김주관 대표는 "네이버 밴드가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한 배경에는 블로그, 카페, 지식iN 등 다양한 형태의 대규모 커뮤니티 서비스를 20년간 운영하며 얻은 노하우가 있다"며 "앞으로도 밴드는 네이버의 커뮤니티 서비스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을 면밀히 분석하고 지역적·문화적 특성에 최적화해 현지 사용자들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