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CC, 연평균 20% 이상↑…탈통신 미래 먹거리 낙점

LG유플러스는 인공지능 고객센터(AICC)와 소상공인 AI 솔루션을 기반으로 B2B 인공지능(AI)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1일 밝혔다. ▲U+ AICC 온프레미스(On-Premise) ▲U+ AICC 클라우드(Cloud) ▲우리가게 A를 3대 서비스로 낙점하고 역량을 집중해 B2B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챗 GPT로 촉발된 AI 붐이 전 산업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AICC 시장이 급 성장 중이다. 시장조사 기업 얼라이드마켓리서치에 따르면 국내 AICC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꾸준히 성장해 2030년에는 약 5000억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LG유플러스는 AICC가 큰 시장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뚜렷한 선도사업자가 없는데다 공공기관·금융·보험사부터 유통, 병원, 여행 등 적용 범위가 방대해 이른바 '황금알' 시장으로 불린다며 많은 IT 업체들이 눈독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동통신사는 ICT 인프라와 유무선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시장에 빠르게 안착할 수 있어 AICC를 둘러싼 거센 경쟁이 예상된다. 탈통신 시대 대표적인 미래 시장을 두고 각축전이 예상되는 가운데 LG유플러스는 AI 역량을 AICC에 집중하고 본격적인 경쟁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는 앞서 LG AI 연구원, LG CNS와 'One-LG AICC'를 구축하고 LG그룹사 AI 역량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LG AI 연구원이 개발한 초거대 AI '엑사원 2.0'과 협력해 AICC 고도화에 나서는 한편, 내년에는 자체 개발한 'ixi-GEN(익시젠)'도 선보일 계획이다.
익시젠은 LG유플러스의 통신·플랫폼 데이터를 학습시킨 대형언어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로, 향후 B2B AI 사업의 중추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자체 LLM이 구축되면 AICC 경쟁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유플러스 박성율 기업기반사업그룹장은 "LG유플러스는 다수의 콜센터 인프라 솔루션 구축 및 운영 노하우를 통해 고객센터 통신 서비스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며 "오랜 시간 다져온 경쟁력을 바탕으로 그룹사 AI 역량을 충분히 활용하면서 B2B AI 플랫폼으로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유아이패스 '오토파일럿', 모든 구성원이 AI로 자동화 가능해"
- LG유플러스 ‘너겟’, 청년에겐 데이터 추가 제공
- 시총 1위 꿈꾸는 MS, '애저 클라우드'로 AI 시대 주도한다
- LG유플러스, 현대차와 '로봇 친화형 빌딩' 통신 인프라 만든다
- 인피닉, 광주와 함께 AI 산업 융합 생태계 구축
- LG유플러스 '아이들나라', B2B∙B2C 유아동 교육사업 확장 본격화
- LG CNS, 미국 뉴욕시와 디지털 전환 파트너십 위한 MOU 체결
- LG유플러스, 클라우드 기반 안전관리 솔루션 '스마플' 출시
- 삼성전자, '삼성 AI 포럼' 개최…초거대AI 주제로 진행
- LG유플러스, 매출 3조 5811억원 기록…전년대비 2.3%↑
- 생성형 AI서 붙는 삼성·엘지, 누가 더 잘 쓸까?
- LG유플러스, AI 기반 스마트팜 육성한다
- SKT '우' vs. LG유플러스 '양' vs. KT '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