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세미, 부천서 연간 100만 이상 SiC 웨이퍼 생산 시설 완공
3년간 최대 1000여명 고용

지능형 전력 및 센싱 기술의 선도 기업인 온세미는 경기도 부천시에 세계 최대 규모의 최첨단 실리콘 카바이드(SiC) 제조 시설을 완공했다고 24일 밝혔다.
해당 시설은 풀가동 시 연간 100만 이상의 200mm SiC 웨이퍼를 제조할 수 있다. 온세미는 SiC 제조 능력 향상을 위해 향후 3년간 최대 1000여명의 국내 직원을 채용해 고도의 기술직에 대부분 충원할 계획이다. 이는 현재 약 2300명의 인력보다 40% 이상 증가한 수치다.
SiC 디바이스는 전기차(EV), 에너지 인프라, 고전력 전기차 충전기의 전력 변환에 필수 부품이다. 이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SiC 칩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당분간 수요가 공급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온세미는 부천 팹 증설을 통해 추가 생산 능력에 대한 시급한 수요를 해결해 고객에게 지속적인 공급을 보장하고 지능형 전력 솔루션 분야의 리더십을 강화한다.
온세미는 새로운 첨단 150mm/200mm SiC 팹 라인의 건설과 동시에 첨단 유틸리티 건물, 인접 주차 건물 건설까지 완료했다. 150mm/200mm SiC Epi와 웨이퍼 팹의 증설은 브라운필드 지역에서 수직적으로 통합된 SiC 제조 공급망 구축에 주력하는 온세미의 노력이다. 부천 SiC 라인은 150mm 웨이퍼 생산으로 시작해 2025년 200mm SiC 공정이 인증되면 200mm로 전환될 예정이다.
이번 준공식에는 염태영 경기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조용익 부천시장, 국회의원, 김종흠 부천상공회의소 회장 등 고위급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또한 지역사회, 주요고객사, 협력사, 반도체 업계 대표들도 함께 했다.
온세미 하산 엘 코우리(Hassane El-Khoury) CEO는 준공식에서 "부천의 150mm/200mm SiC 웨이퍼 팹은 완전히 통합된 SiC 공급망의 지속적인 성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우리는 전 세계 전기화(electrification)의 가속화를 지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난 5년은 부천 직원들이 거둔 뛰어난 성과를 확인하고,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라는 정부 기관과의 공동의 협력에서 이룰 수 있는 점들도 알아볼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온세미가 부천 SiC 웨이퍼 팹 증설을 위한 전략적 계획을 성실하면서도 빠르게 실행하는 모습에 깊은 감명을 받았다"며 "부천시는 기술 분야 신규 고용 창출은 물론, 전기화를 통해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