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명호 한국동서발전 사장이 13일 울산화력본부 보일러 타워 붕괴사고 현장 앞에서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2025.11.13/뉴스1 ⓒ News1 조민주 기자
권명호 한국동서발전 사장이 13일 울산화력본부 보일러 타워 붕괴사고 현장 앞에서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2025.11.13/뉴스1 ⓒ News1 조민주 기자

|스마트투데이=이재수 기자| 한국동서발전과 HJ중공업이 13일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사고에 대해 처음으로 공식 사과했다. 사고가 발생한 지 8일 만이다.   

하지만 두 회사는 사과문에 사고 원인이나 책임 범위 등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으면서 “늦은 사과에 비해 내용도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6일 울산 남구 남화동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는 기력발전 5호기 보일러 타워가 붕괴해 작업자 7명이 매몰되는 참사가 발생했다. 이들은 모두 HJ중공업의 하청업체인 코리아카코 소속 근로자로, 현재까지 6명이 숨지고 1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다.

권명호 동서발전 사장은 이날 오전 사고 현장을 찾아 “고인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애도를 전한다”며 공식 사과했다. 그러나 법적 책임과 관련된 질문에는 “수사 결과에 따라 감당할 수 있는 부분을 감당하겠다”고만 답했고, 안전관리 문제나 관리·감독 소홀 여부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조사 중”을 이유로 피했다.

김완석 HJ중공업 대표이사는 권 사장 발표 직후 별도로 고개를 숙였다. 그는 “유가족께 지울 수 없는 상처를 드려 깊이 사죄드린다”며 “마지막 실종자를 가족 품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완석 HJ중공업 대표이사가 13일 울산화력본부 보일러 타워 붕괴사고 현장 앞에서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2025.11.13/뉴스1 ⓒ News1 조민주 기자
김완석 HJ중공업 대표이사가 13일 울산화력본부 보일러 타워 붕괴사고 현장 앞에서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2025.11.13/뉴스1 ⓒ News1 조민주 기자

뉴스1 보도에 따르면, HJ중공업 측은 김 대표를 향한 취재진의 질문을 사전에 차단했다. 회사 측은 “구조 작업이 끝난 뒤 질의응답을 하겠다”며 원천 봉쇄했고, “대표가 관계기관 조사를 받고 있어 답변이 곤란하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언론 대응을 회피해온 이유에 대해선 “사고 수습을 최우선으로 하다 보니 대응이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두 회사는 사과문 발표 과정에서도 엇박자를 보였다. 동서발전이 사과문 발표를 준비하는 와중에 HJ중공업이 바로 옆에서 사과문을 읽을 준비를 하자, 동서발전 관계자가 “왜 이 자리에 함께하려 하느냐”며 항의하는 모습이 취재진에 목격됐다. 양측 관계자들이 짧은 시간 동안 실랑이를 벌이며 얼굴을 찌푸리거나 손짓을 주고받는 장면도 포착됐다.

결국 양측 대표가 각각 별도로 사과문을 발표하는 방식으로 마무리됐지만, 이를 두고 “사고 대응 과정에서도 양측의 소통 부재가 드러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울산화력발전소 사고를 언급하며 산업 안전 패러다임의 혁신을 주문했다. 안전 관리 문제를 비용 측면에서 접근할 게 아니라 당연히 늘려가야 할 투자라는 인식을 갖춰야 할 거라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