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투데이=이은형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유엔총회 미국 방문을 계기로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을 접견해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3500억달러 규모 대미 투자와 관련, '상업적 합리성'을 강조했다.
최근 관세 후속 협상이 난항을 겪는 가운데 통화 스와프 협상의 핵심 당사자인 베선트 장관과 전격 면담이 이뤄짐에 따라 양국 논의가 급물살을 탈지 주목된다.
뉴스1에 따르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오후 미국 뉴욕의 한 호텔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이 미국 뉴욕 유엔대표부에서 약 30분 동안 베선트 장관과 면담을 가졌다"고 밝혔다.
당초 베선트 장관은 이튿날 이 대통령이 진행할 예정인 '한국경제설명회(IR) 투자 서밋'에서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었지만 일정상 불참하게 됐다. 베선트 장관은 대신 이 대통령과의 만남을 희망했고 두 사람의 접견 일정이 성사됐다고 한다.
이 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한미 관계는 동맹으로서 매우 중요하며, 안보뿐 아니라 경제 측면에서도 양국의 긴밀한 협력 관계가 한미 동맹을 유지하고 발전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안보 측면에서는 양국 간 협력이 잘 진행되고 있다고 평가하며 통상 분야에서도 좋은 협의가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고 김 정책실장은 전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대미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와 관련해서는 '상업적 합리성'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상업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한국과 미국 양국의 이익이 부합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전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미국과 일본 간의 대미 투자 패키지를 언급하면서 외환시장 및 인프라 측면에서도 일본과는 크게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이런 측면을 고려해 협상이 잘 이뤄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한미동맹은 굳건하며, 일시적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나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한국은 미국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잘 알고 있고 조선 분야에서 한국이 중요한 파트너란 점을 강조한 바 있다"고 답했다.
이어 베선트 장관은 이 대통령의 얘기를 충분히 경청한 후 대미 투자 협력 분야에 대해 "내부적으로 충분히 논의하겠다"고 답변했다.
김 정책실장은 한미 통화스와프 등 관세 협상 후속 조치에 대해서는 "베선트 장관은 한국이 통상 협상 과정에서 제기하는 외환시장 문제에 대해 훨씬 더 잘 숙지하게 된 것"이라며 "이 대통령이 직접 그 부분을 말했고 베선트 장관은 충분히 경청하고 내부적으로 관련 부처와 논의하겠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이 베선트 장관에게 직접 그 포인트를 상세히 설명했기 때문에 이후 3500억 달러 투자 패키지 협상 과정에서 중대한 분수령이라고 본다"며 "오늘 접견이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김 정책실장은 "우리는 상업적 합리성에 맞고, 우리나라가 감내할 수 있고, 국익에 부합하고, 한미 간에 상호호혜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안이어야 한다는 원칙을 갖고 협상하고 있다"며 "협상 시한 때문에 우리가 희생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경주 APEC에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할 것이고 양국 정상 간 당연한 면담이 있을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