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투데이=김세형 기자|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리플, 솔라나 등 개별 암호화폐에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 증시에 상장된 관련 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더 낫다는 주장이 나왔다.
신한투자증권은 22일 '한미 암호화폐 테마 트레이딩 전략' 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주장했다.
이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비트코인은 10만달러를 돌파했고, 올해 8월 중순 12만4천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하지만 코인시장 분위기는 광풍이 절정이던 2021년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2021년 대비 33% 높아졌지만, 거래대금은 25% 감소했다.
신한투자증권은 "기관 거래대금은 개인을 역전했다"며 "기관의 참여가 많아지며 이제는 예전과 같은 폭력적인 가격 상승에 의한 일확천금 서사가 약화됐다"고 판단했다.
반면 주식시장에서의 암호화폐 분위기는 코인보다 뜨거웠다고 판단했다.
지난 6월 써클(CRCL) 미국 상장, 7월 미국 지니어스법(스테이블코인 기본법) 통과가 기폭제가 됐다.
신한투자증권은 "이번 랠리는 코인 가격의 상승 없이 제도화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했다는 점에서 이전과 크게 대비된다"며 "코인 강세 없이는 관련주 강세가 없다는 고정관념을 깨면서, 암호화폐를 주식으로 투자하는 것이 더 유익함을 입증했다"고 분석했다.
이에 이제는 암호화폐 관련주를 아는 것을 넘어서서 구체적인 트레이딩 전략이 필요해지는 시점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미국과 국내 암호화폐 관련주 가운데 투자 유망 종목을 제시했다.
미국 암호화폐 톱픽으로는 코인베이스(COIN), 로빈후드(HOOD), 써클(CRCL)을 제시했다. 트레이딩 관심기업으로 스트래티지(MSTR), 비트마인(BMNR), 아이렌(IREN), 마라(MARA)를 제시했다.
국내 암호화폐 관심기업으로 NHN KCP, 헥토파이낸셜, 다날을 제시했다. 미국처럼 암호화폐 거래소가 제도화의 핵심 수혜주일 것으로 예상하나, 업비트나 빗썸이 상장돼 있지 않은 점은 아쉽다고 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금은 금리 하락, 비트코인 도미넌스 하락(알트 강세)에 의한 코인 ‘종목장’ 초기 국면"이라며 "시장과 무관하게 제도화 진전도 지속 중으로 현재 최적의 조합은 거래소·스테이블코인(주력), 트레저리·채굴(보조)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