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8.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전국 시·도지사 간담회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8.1/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스마트투데이=이은형 기자 | 쌀 시장 개방을 두고 미국과 우리 정부가 서로 다른 말을 하고 있다.

뉴스1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1일 캐롤라인 레빗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한국이 자동차와 쌀 같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역사적 개방을 할 것'이라고 발표한 것에 대해 "우리는 이미 농축산물 시장이 99.7% 개방돼 있는 상황이다. 나머지 0.3%에 대해 더 개방하는 것 없다는 우리 측의 입장이 맞다"라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시장) 개방 폭이 더 늘었다거나 99.7%에서 더 늘어난 부분은 없다고 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강 대변인은 "(농축산물) 상세 품목에서 검수나 검역 과정을 더 쉽게 한다든가 변화는 어쩌면 있을지 모르지만 전체 양에 있어서는 (미 측에서) 조금 오해가 있었던 게 아닐까"라며 "세부적 요건에 있어서 서로의 이해가 달랐다"고 설명했다.

이어 "상세항목은 조율과 협상의 여지가 남아있기 때문에 지금은 더이상 밝히긴 어렵다"면서도 "쌀이나 농축산물 시장에 대해서는 개방이 안 된 건 확실히 맞다"고 강조했다.

앞서 레빗 대변인은 31일(현지시간) 백악관 브리핑에서 한미 관세협상 결과와 관련해 "한국은 15%의 관세를 내게 될 것이며, 자동차와 쌀 같은 미국산 제품에 대한 역사적 개방을 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또한 협상 타결 직후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한국이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을 포함한 미국 제품을 수용해 무역을 완전히 개방할 것"이라고 했다.

반면 우리 정부는 농축산물 시장 추가 개방이 없다고 공식 발표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농축산물 시장 개방에 대한 (미국의) 강한 요구가 있었던 게 사실"이라며 "식량 안보와 농업의 민감성을 감안해 국내 쌀과 소고기 시장은 추가 개방하지 않는 것으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정부도 이날 설명자료를 내 "한미 통상협의에서 쌀은 포함되지 않았다"고 재확인했다.

 

키워드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