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화석연료금융규모 331.5조 달해..매년 증가세
2050 탄소중립 '적신호'

 * 편정범 교보생명 사장이 지난해 10월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지구하다 페스티벌' 개막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교보생명)
 * 편정범 교보생명 사장이 지난해 10월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지구하다 페스티벌' 개막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교보생명)

|스마트투데이=이민하 기자| 금융기관이 지난해 상반기 기준 화석연료 기업에 331조 5천억 원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정부 예산의 절반에 달하는 규모로, 금융권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적신호가 켜졌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 이사장 김영호)은 금융기관의 화석연료 지원이 자산 건전성과 탈석탄 선언을 모두 위협하고 있다고 27일 경고했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과 국회의원 양이원영 의원실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석탄금융이 133.8조 원, 천연가스 및 석유금융이 197.8조 원으로 민간 금융기관이 총 63.7%를 차지했다. 특히, 신규 실행액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는 에너지 가격 급등과 기업들의 투자 수요 증가 때문으로 분석된다.

2023년 6월말 기준 공적금융섹터의 화석연료금융규모는 총 116.2조원에 달했다. 국민연금과 KDB산업은행, 한국전력 등의 투자액이 높았다. 시중은행 중에서는 우리은행의 투자규모가 가장 높았고, 보험사 중에서는 교보생명보험으로 투자규모가 각각 1조원 안팎으로 상대적으로 높았다.

오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의 석탄금융 만기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2053년에도 상당한 잔액이 남게 되며, 이는 2040년 석탄 폐지 시나리오와 배치된다.

기존 계약의 잔액이 계속해서 집행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화석연료금융 리스크는 석탄뿐만 아니라 천연가스 및 석유금융에도 해당된다. 천연가스 및 석유금융 잔액은 197.8조 원으로 석탄금융보다도 큰 비중을 차지하며, 천연가스 발전소도 좌초자산 위험에 직면해 있다. 정부의 금융정책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영호 이사장은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 평가 시 기후 리스크를 고려하는 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충당금 적립 등 금융감독 강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양이원영 의원은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와 국회의 역할을 재차 강조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