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모바일 "기한 내 신청 할 것"…28GHz, 6GHz 이하 대역폭 보다 경쟁력 낮아

미래모바일
미래모바일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이동통신 3사 체제가 드디어 개편될까? 정부의 5G 28GHz 주파수 할당 마감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4번째 이동통신사의 등장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8GHz 대역 800MH폭과 700MHz 대역 20MHz폭 주파수 할당신청이 19일 마감된다.

28GHZ 대역은 26.5~27.3GHz 구간, 700MHz 대역은 738~748, 793~803MHz 구간이 각각 할당된다.

과기정통부는 20년 가까이 유지되던 이통3사의 독점구조를 깨고 새로운 통신사를 통해 가계통신비 절감 경쟁을 유도하겠다는 취지에서 5G 28Ghz 신규사업자 주파수 할당 신청을 접수 중이다. 

사업자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과기정통부는 최저 경쟁가를 740억 원으로 2018년 5G 주파수 할당 책정 당시 최저경쟁가격인 약 2500억 원의 3분의 1 수준으로 낮췄다. 사업 초기 의무 기지국 수도 1만5000대에서 6000대로 줄였다. 

과기부는 최대한 양보를 해서 희망 사업자를 구하고 있으나 현재 신청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 따르면 우선 미래모바일이 마감일 전에 신청서 접수를 진행할 것이며 이밖에 한 곳 이상의 기업이 과기정통부에 관련 문의를 했다는 후문도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최종 신청사업자가 2곳 이상이 될 수도 있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으면 한 곳의 신청자도 없을 수 있다.

미래모바일은 5G 신규 이동통신 사업권 획득을 위해 컨소시엄을 구성해 주간사 역할을 하는 회사다. 미래모바일은 현재 28GHz 대역만으로는 수익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2.3GHz의 저주파수 대역폭의 할당도 요구하고 있다.

앞서 윤호상 미래모바일 대표는 "2.3GHz 대역 주파수는 통신 3사의 3.5GHz 대역보다 주파수 효율이 50% 이상 우수하다"며 "이를 활용해 기존 통신요금의 반값 수준인 5G 요금제를 내놓겠다"고 밝혔다. 

실제 기존 이통 3사도 경제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5G 28㎓ 대역 할당을 포기했다. 28㎓는 6GHz 이하 주파수 대비 높은 대역폭으로 속도는 빠르지만 전파 도달거리가 짧고 투과성이나 회절성이 약하다. 그렇게 때문에 기존 통신망 대비 많은 기지국이 필요하다.

결국 28GHz 대역폭만으로는 통신사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다는 것. 실제 이통 3사는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2018년 5G 주파수 할당 당시 부과된 의무구축 물량 1만5000개를 구축하지 않고 주파수 할당을 취소당했다. 이번 재입찰도 이통 3사의 주파수 할당 취소에 따른 제 4 통신사를 찾기 위해 과기정통부가 준비한 사항이다.

미래모바일 입장에서는 2.3GHz 대역을 구하지 못하면 수익성이 줄어들기 때문에 끝까지 고민 중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까지 미래모바일 컨소시엄의 규모와 주주 등의 실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미래모바일 측은 17일 "기한 내 신청서 제출을 마칠 예정"이라고 말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