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금융그룹은 3일 오전 9시30분 임종룡 회장 주재로 전 계열사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회의를 열고 상생금융 추진 현황 점검과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은 지난 3월 임종룡 회장 취임 동시에 상생금융 방안을 수립, 실행해왔다.
우리은행은 금리인하 등 실질혜택 기준 연 2050억원 규모 ‘우리상생금융 3·3 패키지’를 추진, 지난 9월말까지 실질혜택 1501억원을 실행했다. 우리카드는 10월말까지 1만6000명의 금융취약계층과 소상공인에게 1350억원 규모 혜택을 환원했다.
우리금융저축은행 역시 10월말까지 햇살론, 사잇돌2 등 상생금융 상품 공급액이 526억원으로 3월말 대비 219% 늘렸다.
우리금융은 "그러나 상생금융을 열심히 해왔다고 해도 국민들이 겪고 계신 고통이나 눈높이에 비춰볼 때 여전히 부족하다고 판단, 이번 회의를 통해 국민들이 공감할 만한 수준의 규모와 실질을 기준으로 추가 상생금융패키지를 마련키로 했다"고 밝혔다.
우리금융이 추가로 준비하는 상생금융은 보다 개선된 신상품 준비와 함께 기존 대출의 금리 인상 또는 연체 발생 등으로 고통 받고있는 국민들의 부담을 덜어주는 방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특히 경기침체와 고금리 등으로 인해 가장 고통이 큰 소상공인, 자영업자, 청년 등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맞춤형 상생금융패키지 기본 설계를 마치고 세부사항을 다듬고 있다는 전언이다.
임종룡 회장은 “우리금융은 어려울 때 국민 도움을 받아 되살아난 은행인 만큼 진정성 있는 상생금융으로 국민께 보은해야 한다”면서 “지난번 발표했던 상생금융 약속을 지키는 것에 더해 국민 눈높이에 맞춰 더 좋은 방안들을 찾아서 빠른 시일 내에 실질적 도움을 드려야 한다”고 주문했다.
우리은행 조병규 은행장도 같은 날 11시 긴급 임원회의를 소집해 상생금융 확대를 독려하는 등 우리금융 전 계열사가 상생금융 확대에 매진하기로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일 "우리나라 은행들은 일종의 독과점이기 때문에 갑질을 많이 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마포구에 있는 한 북카페에서 주재한 21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우리나라 은행의 이런 독과점 시스템을 어떤 식으로든지 경쟁이 되게 만들어야 한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주부, 회사원, 소상공인과 자리를 함께 했다.
특히"기업 대출에 비해서 가계 대출이나 소상공인 대출이 더 부도율이 적고, 대출 채권이 안정적인데 도대체 이런 자세로 영업해서는 안 되며 체질을 바꿔야 한다"며 "은행의 독과점 행태는 정부가 그냥 방치해서는 절대 안 된다. 강하게 밀어붙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