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동스쿠터 개인 구매 늘고 관광 시장 일시 냉각

 * 사진=픽사베이
 * 사진=픽사베이

프랑스 수도 파리에서 전동 스쿠터 등 마이크로모빌리티를 이용한 이동은 일상이었다. 파리는 세계 최대의 공유 마이크로모빌리티 시장이었다. 파리가 가장 먼저 공유 마이크로모빌리티 서비스를 중단하기로 결정했을 때, 전 세계의 스마트시티는 경악했다. 마이크로모빌리티는 승용차를 줄이면서 교통 부문에서의 탄소 제로를 실현하는 최고의 서비스이자 스마트시티의 주력 교통수단이었기 때문이다.  

지난 8월 30일부터 31일까지 거의 24시간 동안, 파리의 공유 마이크로모빌리티 서비스 사업자 라임(Lime), 티어(Tier) 및 도트(Dott) 3사는 몽마르트르, 마레, 피갈, 샤토 루즈, 셍제르맹 등 파리 전역을 돌면서 1만 5000대에 달하는 전동 스쿠터를 회수했다.

지난달 1일은 파리 시민들이 투표로 결정한 공유 마이크로모빌리티 서비스의 마지막 날이었다. 투표율은 지극히 낮았지만 찬성률은 압도적으로 높았다. 전동 스쿠터 대여 전면 금지 찬성은 89%였다. 

파리에서 전동 스쿠터 사고로 사망한 첫 케이스는 2019년 발생했다. 그는 헬멧을 쓰지 않은 채 교통 규칙을 무시하고 보행자 우선인 인도를 질주하다가 사고를 냈다. 그 뒤 전동 스쿠터 이동은 폭발적으로 늘었지만, 사고도 비례해 증가했다.

‘15분 도시 파리’라는 스마트시티 비전으로 유명세를 탄 앤 이달고 파리 시장은 결국 스마트시티 공공 서비스의 상징이었던 공유 전동 스쿠터 서비스 금지 여부를 시민들에게 묻는 극단의 선택까지 동원했다. 

사업자 서비스가 금지된 최근 한 달 동안 파리 거주민을 제외한 임시 방문자나 비거주자는 이동의 불편함을 감내할 수밖에 없었다.

르몽드 보도에 따르면 공유 마이크로모빌리티 금지로 관광 시장도 일시 냉각됐다고 한다. 물론 공유 전동 스쿠터 서비스가 금지됐을 뿐, 개인적으로 전동 스쿠터를 소유해 타고 다니는 것까지 막은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공유 스쿠터 금지 조치로 인해 많은 지역 거주민들이 전동 스쿠터를 구매할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아직 공식 통계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실제 개인들의 스쿠터 구매는 지난 한 달 동안 크게 늘었다고 시정부는 전하고 있다, 

스쿠터는 다른 모든 곳에서 그랬듯이 10대 초반의 젊은이들이 사용하면서 파리에 처음 도입됐다. 그 후 코로나19 대유행의 도래와 함께 파리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피하면서 사용이 비약적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증가하는 사망 사고는 공유 마이크로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논쟁을 가열시켰다. 숙박 플랫폼 에어비앤비 규제를 둘러싸고 형성됐던 정치적 전선이 전동 스쿠터를 중심으로 한 마이크로모빌리티 부문에서도 만들어졌다. 

가장 인구가 많고 관광객이 집결하는 도시는 파리였다. 앤 이달고가 이끄는 파리 시정부는 2019~2022년 사이 공유 서비스 운영 3사에 대한 시의 통제를 강화하고 차량 수를 1만 5000대로 제한했으며, 고객과 보행인의 안전에 대한 책임을 요구했다. 

파리에서 전동 스쿠터로 인한 두 번째 사망은 예상대로 보행자였다. 비번 간호사 두 명이 탑승한 스쿠터에 치인 것이었다. 두 사람 모두 2021년 시내에서 즐거운 밤을 보낸 후 술에 취해 있었다. 간호사가 사건의 주범이라는 사실은 지역 사회에 불신과 분노를 부채질했다. 파리 경찰에 따르면 지난해 총 400대가 넘는 전동 스쿠터 사고로 3명이 사망하고 459명이 부상을 입었다. 

파리에서의 공유 마이크로모빌리티 금지 이후 파리 시내는 매우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르몽드지가 보도했다.

유럽의 많은 대도시들이 파리를 따라 방어적인 태도로 전환하는 모습도 보인다. 베네치아 시민들은 '과잉 관광'이라고 불리는 크루즈 여행을 규제하며 도시를 구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싸우고 있다. 전동 스쿠터의 금지도 파리지앵들의 노력이 맺은 하나의 결실이었다. 몽마르트 언덕은 131m 높이에 위치해 있다. 언덕 위로 올라가는 수백 개의 계단은 가파르다. 파리지앵들은 전동 스쿠터 금지와 관련, 관광객이 대성당이나 고궁, 카페를 방문하는 것은 모두 환영하지만 방문 수단이 공유 전동 스쿠터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한다.

전동 스쿠터를 비롯한 마이크로모빌리티는 대중교통 수단이지 보행의 영역까지 침범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