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부터 빅데이터허브시스템 대시민 개방형 플랫폼 서비스
417종 데이터 제공…행정신뢰도 향상·지역경제활성화 도모

시민 누구나 세종특별자치시(시장 최민호)와 관련한 데이터를 살펴볼 수 있는 ‘세종형 빅데이터’가 시민들에게 개방된다. 세종시는 최근 ‘빅데이터허브시스템 대시민 개방형 플랫폼(www.sejong.go.kr/bigdata)’을 구축하고, 29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서비스는 디지털 경제사회로의 전환에 발맞춰 시와 관련한 다양한 데이터를 개방해 시는 행정의 신뢰·투명성 향상을 꾀하고, 시민·기업은 고부가가치 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세종시 데이터의 생산·유통·활용을 촉진해 데이터산업 발전 기반을 조성하고 소상공인·예비창업가 등에게 데이터로 경제활동을 지원해 지역경제활성화를 도모하려는 목적도 갖는다.
개방형 플랫폼은 ▲빅데이터 이용신청 ▲빅데이터 분석자료 ▲시민데이터지도 ▲아이디어공모전 등 6가지 메뉴로 구성돼 세종생활에 밀접한 교통물류·식품건강·재정금융등 총 385종의 데이터를 제공한다.
데이터는 거래터(플랫폼) 이용자 누구나 쉽게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으며, 개방형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s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해 다양한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이용자는 데이터 목록에서 희망 데이터와 제공방식을 선택하고 관리자 승인 후 내려받거나 개방형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로 수령이 가능하다.
개방형 플랫폼에서는 개인 보유 데이터를 활용해 시각화 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시민데이터지도’를 비롯해 통신 기반 유동 인구 분석, 소비패턴 분석, 기상 분석 등 자동분석 시각화 서비스도 제공한다.
또 분기별 소비현황 분석, 부동산 실거래가 분석 결과 등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 보고서를 제공해 시민들이 보다 쉽게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지원한다.
이중현 지능형도시과장은 “앞으로 개방형 플랫폼으로 경제·환경·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민 생활에 밀접하고 활용도가 높은 데이터를 지속 발굴·개방할 계획”이라며 “지역상권, 축제 등 여러 분야의 데이터 분석 사업도 추진해 시민 생활에 도움을 드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 세종시, 탄소포인트제 참여율 "꼴찌"
- 구리-세종 고속도로 또 연기..2024년 중반 개통
- '로봇이 가게 물건 배송!' ..주소기반 자율주행 로봇 시연
- 세종시, '붉은장미의고장' 소피아市와 협약
- '거리의 무법자' PM사고 '더블링'
- 자율주행차 2배 늘었다
- 사물놀이 김덕수·트롯퀸 김다현·김수희 등 세종시 홍보대사
- ‘세종시’ 검색, 이제는 네이버에서~
- 모바일 ‘세종엔’으로 '슬기로운 세종생활'
- 세종시-벨파스트시와 스마트시티 구축 '맞손'
- 세종특별자치시내 조치원 기부 릴레이
- 종합병원 부족한 세종자치市, 이웃지자체 병원과 '협약'
- 세종시 'KTX 세종 정차' 다시 '군불' ..인근 지자체 '우려'
- '스마트시티' 수출길 열리나
- 충남도, '스마트시티 데이터허브' 구축 나선다
- '세종 산타'는 바로 당신입니다
- 인천시 시민소통민원 빅data 첫 분석..최다민원발생지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