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신속한 미래차 기술전환 촉진 통해 자동차산업 재도약 발판 마련"

인천광역시는 17일, 최근 내연기관차 시장 축소, 전동화 가속화 등 글로벌 자동차시장 패러다임 변화로 침체에 빠진 인천 자동차산업을 미래차 중심으로 재편하기 위해 미래차 부품산업 육성 지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인천 자동차 부품기업 628개사 중 약 57.8%가 미래차 전환에 대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부품기업의 신속한 미래차 기술전환 촉진을 위해 올해부터 전주기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시는 부품기업의 미래차 연구개발(R&D) 촉진을 위한 기초 기술정보 제공을 위해 최신 글로벌 전기차를 해체해 기술구조를 분석하는 테어다운(Tear down) 사업을 추진 중이다. 최근 차량 해체작업을 마치고 배터리 등 핵심부품에 대한 기술분석을 진행 중으로 내달 15일 해체부품 전시회 및 기술세미나를 개최할 예정이다.
또한, 부품기업의 연구개발(R&D)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기술전환 컨설팅과 재직자 대상 미래차 기술전환 전문교육을 실시했다.
미래차 연구개발(R&D) 지원 사업도 추진 중으로, 친환경·지능형 부품 및 커넥티드형 통신부품 개발을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커넥티드형 통신부품 개발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서 청라 로봇랜드에 건립 중인 커넥티드카 인증평가센터와 함께 인천시가 미래차 핵심기술 분야로 특화 육성 중인 과제 중 하나다.
아울러, 미래차산업 육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자동차 부품산업 실태조사, 미래차 기술로드맵 연구용역, 미래차 통합지원센터 구축 연구, 미래차 협력 거버넌스 운영 등도 추진 중에 있다.
조인권 시 경제산업본부장은 “자동차산업은 인천 제조업의 근간으로 자동차산업 생태계를 빠르게 미래차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미래차 기술전환 지원사업 확대 시행을 통해 부품기업의 기술혁신을 견인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제스처만으로도 메뉴 이동"..현대모비스 퀵메뉴 셀렉션 첫선
- 제네시스, 전기차 콘셉트 ‘엑스 스피디움 쿠페’ "속살" 첫선
- ‘K-UAM Confex’ ‘항공·스마트 제조 공급 사슬 특별관’ 운영
- 유정복 인천시장, 외국인 투자ㆍ재외동포청 유치 위해 유럽 출장
- 2040년 미래도시 인천을 비행하다
- 인천의 미래, 인천스마트시티 이끌 적임자 뽑습니다
- 인천, 시내버스 2030년까지 수소버스로 전환+청라에 대규모 수소설비 생산공장 유치
- 인천시, 스마트공장 인력 양성위한 스마트화관 '오픈'
- 태양광 발전 EV 상용화 잇따라…“차세대 전기차 트렌드 될 것”
- "개발 경험 공유하고 싶다" 루토 케냐 대통령, IFEZ 방문
- 인천시, 해상풍력 배후항만과 지역산업 연계 위한 사업설명회 개최
- 인천시 '찾아가는 자원순환교실' 인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