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2천명 주민 거주 낙소스 섬에 여름철 관광객 13만 찾아
아마존웹서비스, 미 대사관 등과 '스마트 아일랜드 PF' 주도

글로벌 클라우드컴퓨팅 톱 기업인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에게해 남부 그리스령인 낙소스(Naxos) 섬을 ‘스마트 아일랜드’ 로 탈바꿈시킨다. 시티투데이에 따르면 그리스와 협력해 아마존이 주도하는 낙소스 섬 시범 프로젝트는 드론에 의한 상품 배송과 섬 내부에서의 사물인터넷(IoT) 기술 활용 등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뤄진다.
스마트아일랜드 프로젝트는 글로벌 기업 20개사가 참가하고, 그리스 정부와 섬 현지 당국, 미국 대사관의 지원을 받아 개발될 예정이다.
이 시범 프로젝트는 낙소스 등 그리스 영내 다양한 섬들이 공통적으로 직면하고 있는 난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낙소스의 주요 정착촌인 초라(Chora)로 국한된 배송과 운송으로 이곳을 제외한 여타 지역민의 경우, 의료를 포함한 공공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이렇다할 도로망이 갖춰지지 않았고, 각 포구 등 보트 정박지, 주차장, 급수, 폐기물 관리와 발전소 같은 인프라 및 유틸리티 시설이 갖춰져 있지 못하다. 특히 여름철 주민들의 필수 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글로벌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자회사 AWS를 앞세워 주도하는 이 프로젝트는 선박 모니터링 및 보고, 의료 배송용 드론, 스마트 주차 센서, 원격 의료 서비스 등의 솔루션을 도입할 예정이다. 마리나, 전력망, 물 관리 시스템도 IoT와 디지털 인프라로 업그레이드된다. 이를 통해 낙소스 섬을 스마트 아일랜드로 조성하고, 그 성공 사례를 이웃 섬으로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또 공무원과 주민을 대상으로 각종 디지털 기술 교육이 지원될 예정이다. 필요시 주민들이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해 이들 역시 스마트아일랜드 건설에 동참할 수 있다.
AWS의 공공 부문 총괄 카메론 브룩스는 블로그에서 "섬이 갖는 지정학적 문제로 각종 도전에 직면해 있다. 그들은 대부분의 에너지를 화석연료에 의존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비싼 운송 및 네트워크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경제적 다양화가 총체적으로 매우 제한적이다"라고 전제하면서도 "그러나 섬이라는 지리적 조건이 장점이 될 수도 있다. 지정학적으로 바다로 분리돼 있는 섬 전체 공간을 기술적, 환경적, 경제적 혁신을 위한 이상적인 실험실로 만들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브룩스는 나아가 "낙소스 섬의 스마트 아일랜드 프로젝트는 전 세계의 다른 고립된 지역 사회가 유사한 도전을 극복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낙소스는 키클라데스 군도(Cyclades)에서 가장 큰 섬이다. 낙소스의 면적과 위치, 인터넷 연결성 등 여러 조건을 감안해 이 섬이 시험 프로젝트 대상으로 선정됐다. 이곳에는 2만 2000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여름철에는 13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다.
낙소스 스마트 아일랜드 프로젝트는 AWS 서비스와 FIWARE 에코시스템의 글로벌 산업 표준 및 오픈 소스를 결합한 AWS 스마트 테리토리 프레임워크(Smart Territory Framework)를 중심으로 구축될 예정이다.
브룩스는 "이를 통해 개인 식별정보(PII) 데이터를 정부 부서와 외부 조직 간에 안전하고 간단하게 공유할 수 있어 낙소스 섬 주민들의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는 그리스 정부, 에게해 남부 지역, 낙소스 및 키클라데스 자치체의 지원을 받아 개발됐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단체는 에게해 네오리온 센터, 알투스 LSA, 시스코, 키클라데스 상공회의소, 싸이테크, 딜로이트, e푸드, ELTA, 유니스 에너지 그룹, 유로뱅크, 그리스 우주 센터, 그리스 인력 조직(DYPA), 이오테크, 람다 오토마타, 국립 데모크리토스 과학연구 센터, 지속 가능한 그리스섬 네트워크(DAFNI), 노바, 원엑스 테크놀로지, OTE 아카데미, 샘미, 스파크웍스, 트래블로토포스, 보다폰 등이다. 참가자 면면을 보면 이번 스마트 아일랜드 프로젝트 규모가 방대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스 정부는 낙소스 프로젝트가 그리스 기업과 다국적·국내 스타트업, 국가·지방·중앙정부가 통합 협력하는 사례로, 그리스와 국제적으로 사례연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세계 최대 클라우드 아마존 웹 서비스(AWS), 디지털 트윈 생성 가속화 서비스
- [화제] 억만장자 마크 로어가 구상하는 스마트시티, 네바다·유타·아리조나 지역 유력
- 어플라이드·듀폰·인테그리스 R&D센터 유치..15억불 투자 성과
- 최악의 더위로 몸살 앓는 도시를 살린다…CHO(열관리책임자) 역할 급부상
- 여름철 고온으로 신음하는 유럽 도시들…그래도 에어컨은 기피 ‘왜?’
- [스마트시티 구축 사례] 그리스, 뉴욕 센트럴파크 2배 크기 스마트시티 ‘엘리니콘’ 건설
- "낡은 운동복이 에비앙 생수병으로 재탄생"
- 환경보호에 46조 지출..GDP의 2.39%
- 아마존, 스마트시티 개발 컴피턴시 출시
- 에너지 인프라투자 확대..수혜주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