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M·자율운행선박 등 신산업 창출 + 재난 대응에도 필요

6세대(6G) 저궤도 위성통신 개발에 5700억원의 정부 자금이 투자될 예정이다. 저궤도 위성통신은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운항선박 등 신산업 창출을 뒷받침하고, 재난 상황에도 신속히 대응가능한 차세대 연결망(네트워크)의 핵심이다.
정부는 우리 기업들이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의 핵심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투자하는 등 관련산업 육성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저궤도 위성통신 관련 ▲통신 탑재체 ▲본체 ▲시스템 및 체계종합(조립, 발사, 운용 등) ▲지상국 ▲단말국 5개 분야의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정부는 오는 2024년부터 2031년까지 8년간 약 5,700억원 규모의 예산을 집행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이같은 내용을 전제로 '6세대(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사업(R&D)' 기획(안)에 대한 공청회를 18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공청회는 위성통신 분야 업계 및 학계 전문가를 초청하여 '6세대(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사업 기획(안)'의 주요 내용을 공유하고, 보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과기정통부는 공청회에서 제기된 의견을 반영하여 올 연말에 국가연구개발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계획 등을 세운다는 일정이다.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보듯이 전쟁이나 자연재해로 지상망이 파괴되어 통신이 불가할 경우에도 저궤도 위성통신을 활용한다면 지상망에 버금가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스페이스엑스, 원웹 등 국제 기업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 선점 경쟁이 치열하나 우리 기업은 기술력과 우주검증이력 측면에서 시장 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국제 기업에 의한 국내 위성통신 시장 잠식을 방지하고, 기간통신망의 해외 위성통신 의존을 탈피하기 위해 국내 독자 기술 확보가 시급하다.
과기정통부는 앞서 지난달 28일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을 발표하며 '더 빠르고, 더 안전한 연결망(네트워크)'을 구축하기 위해 '6세대(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을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틀 뒤인 9월 30일에는 국내 위성통신 대표기업들과 주요 연구기관, 학계 전문가들을 모아 '제11차 디지털 국정과제 연속 현장 간담회'(과기정통부 2차관 주재)를 개최하여 저궤도 위성통신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연구개발 투자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과기정통부 최우혁 전파정책국장은 "정부가 국내 기업들이 저궤도 위성통신 분야의 핵심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적극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6세대(6G)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사업 소개와 관계 전문가 토의를 바탕으로 예타 사업 기획(안) 보완 및 대외 홍보 추진을 위해 마련된 이날 공청회는 양재시민의숲옆에 위치한 aT셑너 그랜드홀에서 개최된다.
- 한화그룹, '누리호' 기술 이전 '낙점'
- [초점] KT+현대자동차그룹, "스마트 미래" 창출위한 "파괴적 혁신" 전격 맞손
- 민간사용 위성영상 해상도 15년만에 두배이상 선명해진다
- [초점]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날씨의 영향에서 벗어날 도시는 없다”
- 대전시 '우주산업' 선도한다
- 한화시스템+AI양재허브, 인공지능 분야 사업 "맞손"
- K-항공위성 1호기도 떳다!
- K-항공위성 1호기 뜬다
- 볼로콥터, 로마 피우미치노 공항 최초 유인 에어택시 시범 운항 성공
- 국민 59%가 카카오 불통사태로 '불편'
- 데이터센터 재난관리 합동 실태점검 실시
- 中 우주발사체 '창정 5B 잔해물' 추락 대비
- 파일럿 61% 늘때 항공정비사 330% '↑'
- 한화, '동남아 우버' 그랩과 합작사 설립
- 긱 이코노미 시대..한화도 재능 플랫폼 시장 진출
- 탄소중립 등 중점투자분야에 5년간 170조 투자
- 연구원수 세계1위..R&D 100조 시대 '활짝'
- '제주형 UAM' 위해 한화시스템-제주대 '맞손'
- 2450Kg급 지국관측위성 한반도 인근 추락 경보
- 마이크로칩, LEO 우주 전력 관리 제품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