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투데이=김세형 기자|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증권업계 수익 1위 한국투자증권의 신용등급을 한 단계 낮췄다. 위험 선호 성향이 업계보다 높다는 점을 지적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무디스는 한국투자증권의 장기 외화표시 기업신용등급과 장기 외화표시 선순위 무담보 채권등급을 기존 ‘Baa2’에서 ‘Baa3’로 하향 조정했다. Baa3는 ‘투자적격’ 등급 중 가장 낮은 단계다.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은 ‘Baa2' 등급을 받고 있다.
무디스는 한국투자증권의 위험 선호 성향과 함께 발행어음을 언급했다.
한국투자증권의 위험 선호비율은 지난 6월말 기준 24.5%로 국내 증권사 평균(20.0%)을 웃돈다. 무디스는 정부의 벤처캐피탈 투자 활성화 정책 등에 따라 이같은 기조가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와 함께 발행어음을 언급했다. 한국투자증권의 발행어음 규모는 자기자본의 174%인 18조원에 달한다. 지난해 이를 통해 2000억원대 수익를 올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압도적 수익을 뒷받침했다.
무디스는 만기가 1년 미만인 발행어음을 통해 조달한 단기 자금을 장기 기업금융 및 벤처캐피탈에 투자하면서 자산과 부채의 미스매치가 심화할 수 있다고 봤다.
한국투자증권은 이달말 한국투자금융지주로부터 9000억원의 유상증자를 받을 예정인데 업계에서는 한투증권이 발행어음 사업을 더 늘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무디스는 “경쟁사보다 높은 위험 수익 추구 전략은 시장 상황이 악화될 경우 더 큰 이익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무디스는 등급상향조건으로 △위험 선호 비율 20% 수준 축소 △레버리지 6배 미만 유지 △장기 자금 조달 구조 개선을 들었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당사는 이번 조정에도 불구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수익성과 자본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며 “다른 국제 신용평가사인 S&P 및 일본 JCR은 당사의 신용등급과 전망을 상향 조정한 바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