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투데이=이은형 기자 | 우리나라는 저성장에 따라 올해 1인당 GDP가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대만은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고속 성장하며 내년에 1인당 GDP 4만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한국의 1인당 GDP는 지난해 3만 5223달러에서 올해 3만 7430달러로 증가하고, 2026년 3만 8947달러를 거쳐 2027년 4만 526달러에 도달할 전망이라고 뉴스1이 전했다.
이후 2028년에는 4만 2208달러, 2029년에는 4만 4004달러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이 추산은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새정부 경제성장전략'과 '2025~2029년 국가재정운용계획'에서 제시한 경상성장률 전망치를 바탕으로 했다. 정부는 경상성장률을 올해 3.2%, 2026년과 2027년 각각 3.9%, 2028년 4.0%, 2029년 4.1%로 전망했다. 지난해 경상 GDP(1조 8746억 달러)에 이 성장률을 적용하고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로 나눠 계산한 결과다.
한국의 1인당 GDP는 2016년(3만 839달러) 처음 3만 달러대에 진입했으나 이후 등락을 거듭해왔다. 2018년 3만 5000달러를 넘어섰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거치며 2년 연속 감소했고, 2021년 반등했다가 2022년 다시 뒷걸음질했다.
1인당 GDP 4만 달러 돌파 시점의 최대 변수는 달러·원 환율이다. 2027년 4만 달러 돌파 전망은 지난해 연평균 수준인 1364원을 기준으로 계산됐다. 하지만 올해 들어 지난 12일까지 평균 환율은 1413.6원으로 이를 크게 웃돌고 있다.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 등 정치적 불확실성과 미국의 관세 위협이 맞물리며 환율이 1400원대 초반에서 움직이는 탓이다.
만약 올해 평균 환율이 1390원 수준으로 유지된다고 가정하면, 2027년 1인당 GDP는 3만 9767달러에 그쳐 4만 달러에 미치지 못한다. 이 경우 4만 달러 돌파는 2028년(4만 1417달러)에야 가능해진다.
한국의 저성장에 따라 올해 1인당 GDP가 22년 만에 대만에 역전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런 전망이 현실화할 경우 한국은 지난 2003년 1만5211달러로, 대만(1만4041달러)을 제친 후 22년 만에 역전당하게 된다.
올해 2분기 대만의 실질 GDP는 작년 동기 대비 8.01% 증가해 지난 2021년 2분기(8.2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를 반영해 대만 통계청은 지난달 15일 올해 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10%에서 4.45%로 대폭 상향 조정했다. 내년 전망치는 2.81%로 제시했다.
반면 한국은 올해 2분기 실질 GDP가 전 분기 대비 0.7% 증가하는 데 그쳤다. 작년 동기 대비로는 0.6%로, 대만과 차이가 컸다. 대만은 반도체 호황에 힘입어 고속 성장하며 내년이면 1인당 GDP 4만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더 보수적인 전망을 내놨다. IMF는 지난 4월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1인당 GDP가 2029년(4만 341달러)에 4만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0월 전망(2027년)보다 2년 늦춘 것으로, 환율 상승과 저성장 고착화 우려를 반영한 결과로 풀이된다. 정부가 제시한 성장률 달성 여부 역시 4만 달러 시대 개막 시점을 결정할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