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 "정경유착 끊을 인적쇄신에 의문"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준법감시위원회 정례회의에 참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4.8.26/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2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린 준법감시위원회 정례회의에 참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4.8.26/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스마트투데이=이재수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회비 납부와 관련해 정경유착의 고리를 확실히 끊어야 한다는 강한 메시지를 던졌다.

뉴스1 보도에 따르면 이 위원장은 26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타워에서 열린 준법감시위원회 정기회의에 앞서 참석하는 자리에서 "이번 기회에 대한민국에서 정경유착의 고리가 확실히 끊어지길 소망한다"고 밝혔다. 한경협의 운영 방식에 대해 일부 긍정적인 평가를 하면서도, 아직도 인적 쇄신이 부족하고 정경유착의 잔재가 남아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특히" "정치인 출신이 계속 특정한 업무를 한다면 유해한 것이 될 수 있고, 그렇다고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는다면 회비로 국민이 납득할 수 없는 예우를 받는다는 것은 무익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삼성 준법감시위원회의 신중한 입장도 강조했다. 그는 "한경협의 특정 자리가 정경유착의 전리품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이번 한 번의 예외가 앞으로 계속 반복될 가능성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의 회비 납부 결정이 단순히 재계의 흐름을 따르기보다는, 원칙을 지키고 공정한 기업 문화를 확립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을 설명한다. 

한편, 현대차와 SK는 한경협 회비를 납부했다. LG그룹은 한경협이 지난 4월 4대그룹(삼성·현대차·SK·LG)에 발송한 회비(35억원) 공문을 받고 납부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른 그룹들과 달리 삼성은 한경협에 회비를 납부하려면 그룹의 준법경영을 감시하는 준감위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다.

이 위원장은 "한 번의 원칙이 무너지는 예외를 인정하기는 쉽지만, 그 원칙을 다시 회복하려고 하면 불가능하거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며 "그래서 준감위에서 쉽게 결정하지 못하고 신중하게 회비 납부를 고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부분에 대해 삼성과 아직 아무런 의사 교환이 없고 준감위에서 독립적으로 의사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