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정호 메리츠금융그룹 회장.
조정호 메리츠금융그룹 회장.

"승계는 없다. 대주주의 1주와 개인 투자자의 1주는 동등한 가치를 가져야 한다.” "함께 웃어야 오래 웃는다. 우리의 모든 주주환원 행보의 기저에는 이런 생각이 있었다.“ 
 
조정호 메리츠금융지주 회장의 수상 소감 중 한 대목이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과 KCGI자산운용은 지난 5일 ‘제2회 한국기업거버넌스 대상’ 시상식을 개최하고, 조정호 회장에게 경제부문 대상을 수여했다. 주최 측은 조 회장이 지난 2011년 메리츠금융그룹 회장에 오른 뒤 우수한 전문 경영인에게 전권을 일임해 소유와 경영을 분리한 점을 높게 평가했다.
 
또 지난해 11월에는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해 지주사가 자회사인 화재와 증권의 지분 100%를 보유하는 완전자회사 체제로 전환, 모범적 거버넌스의 표상이 됐다고 밝혔다.

그간 한국 자본시장에서는 대기업들의 핵심 계열사 물적분할 등 이른바 ‘쪼개기 상장’으로 인해 소액주주들이 피해를 보는 사례가 많았다. 메리츠금융지주는 이와는 다른 행보를 보여준 것.

메리츠금융지주는 완전자회사 편입 과정에서 대주주 지분율 50% 이하라는 불이익도 감수했다. 조 회장은 당시 "기업을 승계할 생각이 없고, 약간의 지분 차이나 손실은 괜찮다”며 “경영효율을 높이고 그룹 전체의 파이를 키워 주주가치를 제고하는 방향으로 가보자"고 ‘원-메리츠’ 전환 배경을 설명했다.

시상식에서 조정호 회장을 대신해 대상을 수상한 김용범 메리츠금융지주 부회장은 "메리츠가 내부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이야기가 '기업, 가계가 함께 웃자'라는 생각이다"라며 "많은 기업들이 개미투자자와 함께 웃자는 생각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로 이를 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손해보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김 부회장은 "장기적으로 보면 (가계와 기업이) 함께 웃는 방식이 이득이며 (메리츠금융이 실제) 그렇게 했더니 훨씬 더 좋은 성과를 냈다"고 강조했다. 그 오너에 그 최고경영자다. 

메리츠금융그룹은 한진그룹에서 분리된 2005년 화재와 증권을 합친 자산이 3조3000억원에 불과했으나, 올해 3분기 기준으로는 95조원에 달하면서 불과 20년도 채 되기 전 30배가 넘는 성장을 이뤄냈다. 지배구조 개편 첫 해인 올해는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배당 등을 통해 주주환원율을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의 약 50% 수준을 약속했다.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