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출입증'으로 스마트무인매장 네이버페이 자동 결제 연동 

네이버 출입증으로 스마트 무인매장을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 출입증으로 스마트 무인매장을 이용할 수 있다.

네이버는 네이버앱이 대표적인 미래 산업 중 하나인 무인매장에 출입, 결제 기능을 연동하여 사용성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네이버 출입증'을 이용해 소비자는 무인매장 입장 후 원하는 물건을 가지고 나오면 자동으로 네이버 페이에서 결제되는 시스템이다. 매장 내에서 추가로 결제 절차를 거칠 필요 없다.

네이버에 따르면 스마트무인매장에 네이버 출입증을 통한 네이버페이 자동결제 서비스는 이마트24 스마트코엑스점에 26일 처음 적용했다. 연내에 CU의 스마트무인매장에도 추가로 적용될 예정이다.

지난해 10월 27일에 스마트점포의 보안 강화 및 이용자 편의성 향상을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와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꾸준히 협력을 이어온 결과다.

서비스가 적용된 스마트무인매장은 매장 앞 출입인증기에 네이버 출입증 을 스캔하여 입장한 후 구매하려는 물품을 들고 나오면 네이버 출입증 서비스에 등록된 네이버페이 결제수단으로 자동 결제가 이뤄진다.

서비스 최초 이용 시 결제수단 등록을 거쳐야 하며, 등록 후에는 네이버 출입증과 네이버페이를 제휴한 스마트무인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일반 무인매장은 사용자가 셀프 계산대에서 상품의 바코드를 찍고 결제하는 등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스마트무인매장은 이 서비스를 통해 결제 과정을 간소화하고 대기 시간을 단축했다. 효율적인 매장 운영과 관리가 가능하다.

네이버 출입증 서비스는 오프라인에서 신원 인증이 필요할 때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네이버앱의 Na. 영역에서 QR코드 형태로 제공된다. 

편의점을 비롯해 정육점, 횟집, 밀키트, 반려용품, 무인카페, 헬스장 등 다양한 무인매장에 사용성을 확대해왔다. 현재 네이버 출입증으로 입장 가능한 무인매장은 전국 3700여개로 전년 대비 70% 이상 증가했다. 

네이버는 무인 매장뿐만 아니라 행사, 호텔, 기업 등 기존 출입증 서비스가 적용되지 않았던 영역으로도 진출하고 있다.  올해 1월부터 1784 사옥에 방문하는 외부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네이버 출입증 서비스를 통해 회의실에 출입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와 플레이리스트가 선보인 K-POP 차트쇼 'NPOP'에서도 오프라인 방청객의 참석 확인을 위해 네이버 출입증 서비스를 활용하고 있다.

네이버 전자서명인증센터 황지희 리더는 "사용자가 신분이나 소속을 증명해야 하는 다양한 상황에 네이버앱을 활용할 수 있도록 네이버 디지털 신원인증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다"며 "네이버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 산업에 선제적으로 투자하는 동시에, 소상공인이 안정적인 사업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일반 사용자는 차별화된 편의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