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상반기 중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추가 지정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지자체 신청개요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지자체 신청개요

자율주행 버스를 만날 수 있는 지역이 늘어난다. 당장 젊음의 거리 홍대 인근 합정역에서 수도권 광역교통허브 청량리역을 잇는 구간에 자율주행 심야버스가 운항을 시작한다. 인근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영향받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올해  첫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지정(5차) 사업에 전국 7개 지자체에서 8개 지구 신규 지정과 1개 지구 확장을 신청했다고 22일 밝혔다.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는 자율차를 이용한 여객·화물 운송사업 허용 등 자율차와 관련한 다양한 특례를 받을 수 있다. 2020년 5월 처음 도입돼 현재 12개 시도에서 16개 지구가 운영 중이다. 

국토부는 올 상반기 내 실무위원회 및 국토부 장관 주재 '자율차 시범운행지구위원회' 심의를 통해 5차 지구 지정을 완료하고, 하반기 추가 신청 접수 및 6차 지구 지정을 진행할 예정이다. 지구 지정이 완료되면 국민들은 일상에서 다양한 자율주행 서비스를 경험할 기회가 늘어난다. 

충북, 충남, 경북, 경남도가 처음으로 접수했고, 이미 시범운행지구를 운영하고 있는 서울(상암·청계천·강남)과 제주가 새로운 노선에 대한 지구 지정을 신청했다. 

서울시는 청와대 관광객 및 국회 방문객의 편의를 위한 자율주행 버스·셔틀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도심 주요 노선(합정~청량리)에서 자율주행 심야버스를 최초로 실증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최초의 구역형 자율주행 여객 운송과 물류배송 등 서비스를 실증할 계획이다.

충북, 충남, 경북의 경우 각각 지역 내 주요 계획도시인 충북혁신도시, 충남 내포신도시, 경북도청 신도시를 대상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활용한 교통수단을 실증해 신산업 발전의 거점으로 삼는 동시에 지역주민의 정주여건도 개선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전형필 국토부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국민들이 전국 어디에서나 쉽게 자율주행을 체감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지구 확대를 계속하는 한편, 시범운행지구를 매개로 새로운 사업모델 창출이 더 활발해지도록 정부의 역할을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마트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